주거·교통등 71개 세부지표 선정
인천연구원 '활용조례' 제정 제안
인천시가 시민 행복 수준을 측정해 삶의 질을 수치화할 수 있는 '시민 행복지표'를 개발했다. 인천시는 앞으로 시정 목표와 방향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시민 행복지표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인천연구원은 3일 '인천시 지역 웰빙(행복)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 보고서를 내고 6개 분야, 17개 영역의 세부지표 71개를 선정했다.
인천시는 GDP(국내 총생산) 등 경제 분야의 지표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주민들의 삶의 질,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방법을 찾아달라며 인천연구원에 관련 연구과제를 맡겼다.
인천시민들의 행복지수 측정으로 삶의 질을 진단하고, 향후 정책의 우선순위 설정과 대응 마련 등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시가 시민 행복의 현주소를 파악하겠다는 거다. 인천연구원은 민선 7기의 시정 목표와 연계해 지표를 크게 6개 분야로 구분했다.
여기서 또 사회관계, 주거, 교통, 일자리, 교육, 건강, 안전, 평화 등 14개 영역으로 세분화했고, 이를 통계로 나타낼 수 있는 71개의 세부 지표를 선정했다.
인천연구원은 행복지표의 지속적, 안정적 활용을 위해 관련 조례 제정을 통해 지표 활용의 제도적 근거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또 지표의 객관성,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지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연계 방안을 인천시가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인천시, 삶의 질 수치화 '시민 행복지표' 개발
입력 2020-03-03 21:32
수정 2020-03-04 13:1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3-04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