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천 재생사업 관련
인천시가 도심 슬럼화의 상징으로 전락한 동인천역 주변에 다시 젊은 세대를 유입, 지역을 활성화하는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 용역에 착수했다. 사진은 동인천역 주변.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마중물' LH 주상복합 중심 개발
실패 사례 9건보다 국비덕에 수월
'흉물방치' 민자시설 대책도 필요
"주민·상인들과 꾸준히 논의해야"

인천의 대표 구도심인 동인천역 일대에 대한 재생사업이 지난 13년간 번번이 좌초된 가운데, 국비를 투입한 첫 공영사업인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된다.

인천시는 2007년 동인천역 주변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한 후 지난 13년 동안 재정비촉진계획 수립, 북광장 선도사업구역 사업화 계획 마케팅 전략 수립, 도시재생사업 기본구상 등 9건의 용역 사업을 진행했다. 20억원에 달하는 용역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정작 실행된 사업은 없었다.

시장이 바뀔 때마다 이곳 주민들에게 제시됐던 장밋빛 청사진은 말 그대로 '그림'에 불과했다.

2017년에는 2조원의 민간 자본을 투입해 80층짜리 초고층 랜드마크 복합시설과 5천800가구 규모의 뉴스테이 아파트를 조성하는 '동인천역 르네상스 사업'을 추진한다며 대대적으로 발표하기도 했으나 결국 민간업체의 자본 조달 문제로 무산됐다.


112.jpg
인천시가 도심 슬럼화의 상징으로 전락한 동인천역 주변에 다시 젊은 세대를 유입, 지역을 활성화하는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 용역에 착수했다. 사진은 동인천역 주변.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시는 지난 22일 동인천역 북광장과 송현자유시장(양키시장) 부지에 LH가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마중물 사업을 중심으로 한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국토부 거점연계 뉴딜 사업) 용역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기존 민간개발 방식에서 공영 개발로 선회해 동인천역 일대를 탈바꿈 시킨다는 게 인천시의 전략이다.

1990년대까지 인천의 경제·문화 중심지였던 동인천역 일대에 다시 젊은 세대를 유입해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이 사업의 주된 목적이다.

중앙시장과 화도진로 주택·상점가 등 주변 지역에 창업·문화 공간을 조성하는 등의 재생사업과 근대문화유산·노포 발굴 사업 등도 벌일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그간 동인천 일대에서 시도된 도시재생프로젝트와 달리 국비가 투입된다는 점에서 사업이 수월하게 추진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22.jpg
인천시가 도심 슬럼화의 상징으로 전락한 동인천역 주변에 다시 젊은 세대를 유입, 지역을 활성화하는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 용역에 착수했다. 사진은 동인천역 주변.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LH가 직접 주상복합건물을 짓기로 해 사업 좌초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공동화되고 있는 동인천역 일대를 다시 살릴 수 있는 근본 대책이 될 수 있을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9년 엔조이 쇼핑몰 폐업 후 유치권 행사 등의 문제로 십수 년간 흉물로 방치된 동인천 민자역사 시설에 대한 대책도 수반돼야 한다. 이곳에 어떤 시설이 들어오더라도 이번 프로젝트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천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조상운 선임연구위원은 "도시재생이란 한때 반짝 흥행하는 도시를 만드는 게 아니라 더 쇠퇴하지 않도록 천천히 활성화를 유도해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결국 주민·상인과 꾸준히 소통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