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휴·폐업 등 발생시 정부지원
市, '고용위기지역' 결정 지연 투트랙
공항과 항만이 있는 인천 중구의 '고용위기지역' 지정이 사실상 물 건너간 가운데, 인천시가 중구를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은 특정 산업이 집적된 도시에서 대규모 휴업, 폐업, 실직 등이 발생했을 때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정하는 것으로, 최대 2년간 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재정 보조, 신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유치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다.
2018년 4월 한국지엠 공장이 폐쇄된 전북 군산이 가장 먼저 지정됐고, 같은 해 5월 조선 산업 위기로 울산·거제 등 5곳이 잇따라 지정된 바 있다.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이 되면 별도의 신청 없이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이 된다. 그러나 인천 중구가 지난 4월 고용노동부에 신청한 고용위기지역 지정 결정이 일부 요건 미충족 등으로 계속 늦어지자 인천시가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을 따로 신청하는 '투 트랙' 방안을 추진키로 한 것이다.
인천연구원이 최근 중구에 대한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요건을 분석해 시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중구는 항공 화물 운송업(지역 내 비중 0.11%)과 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16.58%), 항공 여객 운수송업(1.63%) 분야에서 지역 내 산업 비중 기준 0.01%를 넘어 지정 요건인 '산업 특화도' 기준을 충족했다.
또 3개 주요 산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기업체의 체감경기)가 각각 20.6%씩 감소해 지정 기준인 '10.0% 이상 감소' 조건과 '주요 산업 2개 이상 위기 발생'이라는 요건 등도 만족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검토 결과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일부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용위기지역 지정 불발에 대비해 이를 바로 신청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월 기준 중구 인천공항 관련 산업 303개사의 유급 휴직자는 1만710명, 무급 휴직자는 1만2천766명, 희망퇴직자는 3천205명에 달한다. 인천국제공항의 항공 운송 실적도 1월 여객 수 63만명에서 5월 13만명으로 급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인천 중구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 추진
입력 2020-07-13 22:47
수정 2020-07-14 13:08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7-14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