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5.jpg
인천시청 청사 및 인천애뜰 /인천시 제공


전국 최초 '경기도 기본주택' 모델
군·구별 특색 반영한 새방식 도입
3기 신도시 계양 등 공급계획 변화
19일 TF 첫회의 정책방향 등 논의

인천시가 경기도의 '기본주택'처럼 인천만의 특색을 반영한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계양테크노밸리 택지 지구에 기본주택 개념의 임대주택이 공급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인천시는 '인천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무주택자와 주거 소외계층을 위한 임대주택 정책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박인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을 중심으로 인천도시공사, 인천연구원 등 산하 기관과 함께 기본 틀을 구상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과 함께 구체적인 계획을 짜기로 했다. 인천시는 공공의 역량만으로는 재정적인 한계에 부딪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추후 민간 분야의 참여도 유도할 계획이다.

인천 맞춤형 임대주택 정책은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기본주택을 모델로 삼고, 여기에 10개 군·구별 주거 여건과 특색을 반영한 새로운 방식이 도입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달 21일 경기도는 소득이나 자산, 나이 등 조건에 상관없이 무주택자가 평생 거주할 수 있는 기본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경기도는 3기 신도시 핵심요지의 공급 물량 50%를 기본주택으로 하겠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임대주택을 중산층까지 포함해 누구나 살고 싶은 질 좋은 '평생주택'으로 확장하겠다"고 언급한바 있다.

인천시도 기본주택 정책 개발에 뛰어든 만큼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계양테크노밸리를 비롯한 인천지역 공공택지의 주택 공급 계획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인천시는 기존 LH와 인천도시공사가 공동 시행하는 3기 신도시 조성사업에 참여하기로 하고, 뒤늦게 시행주체로 이름을 올렸다. 도시 균형발전과 공공성 강화를 위한 주택 정책을 3기 신도시 사업에 반영하기 위해서다.

인천시는 오는 19일 관련 TF 첫 회의를 열고, 기관별 역할과 추진 일정, 정책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심재정 인천시 건축계획과장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기본주택 같은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관계 기관들이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며 "TF가 처음 만나는 '킥오프 회의'를 통해 기본 방향을 잡고, 인천만의 특색 있는 공급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통계청의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인천지역의 무주택 가구는 45만2천가구로 전체 가구의 41.2%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남동구가 8만7천247가구로 가장 많고, 부평구(8만744가구), 미추홀구(7만8천893가구), 서구(7만3천115가구) 순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