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에서 김 양식업 3년 차에 접어든 이청수(40·사진)씨.
인천 정착지원 사업 도움… 매년 소득 ↑
11~4월 가장 바쁘고 휴업기땐 가족 여행
"지난 5월부터 두 달간은 김 양식에 쓰던 그물을 걷어 해초 등 들러붙은 잡조류를 썩히는 '휴업기'입니다. 이땐 주로 가족들과 여행을 가서 시간을 보냅니다."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에서 김 양식업 3년 차에 접어든 이청수(40·사진)씨는 "도시에서 직장을 다닐 땐 연차 한 번 쓰는 것도 쉽지 않았지만, 지금은 한결 여유가 생겼다"며 젊은 귀어인으로서 어촌의 삶을 설명했다.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에서 김 양식업 3년 차에 접어든 이청수(40·사진)씨. |
이씨는 이날도 한 해 김 양식 준비에 한창이었다. 선재 선착장에서 어선을 타고 목섬을 지나 20분가량 걸리는 메추리섬 인근 바다가 그의 작업장이다. 작업장에 도착하자, 부표를 끄집어 올린 뒤 싣고 온 새 부표로 갈아 끼웠다.
이씨는 "이번 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김 포자를 붙인 그물을 부표에 매달아야 하는데 그 전에 청소하는 것"이라고 했다. 농사로 치면 씨 뿌리기 전 밭을 일구는 작업이다. 그는 "김 포자가 자라면 찬바람이 부는 11월~4월 채묘를 하는데 그 때가 가장 바쁘다"고 했다.
이씨의 발치에는 밧줄에 달려 올라온 홍합과 꽃게가 쌓였다. 이씨는 이것을 두고 "점심 때가 지나도 뭍으로 가지 못할 때 어선에서 끓이는 라면에 넣는 지상 최고의 '천연 조미료'"라고 엄지를 치켜세웠다.
그는 인천의 한 대학에서 기계과를 졸업한 뒤 경기도 안산과 화성의 기계 가공업체에서 일했다. 지난 2018년, 영흥도에서 낚싯배와 맨손 어업을 하던 아버지에게서 "함께 시간을 보냈으면 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해 부인과 세 살배기와 무작정 고향으로 왔다.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에서 김 양식업 3년 차에 접어든 이청수(40·사진)씨. |
눈앞에는 바다뿐이었다. 막막했지만 옹진군에서 지원하는 어업인 교육을 이수하고, 청년어촌정착지원 사업을 신청해 올해 인천에서 선정된 6명 중 한 명이 됐다.
부단히 노력한 덕분에 매년 소득은 늘었고 지난해엔 꽤 '짭짤한 성과'를 거뒀다. 양식장 35㏊에 김발 630개를 걸었으나 올해부턴 20㏊ 넓혀 김발 360개를 더 걸기로 했다.
이씨는 "매일 정해진 시간 회사에 출근하는 것과 달리 어업은 어기에 따라 쉴 땐 쉬고 일할 때 바짝 집중해서 직접 그 성과를 볼 수 있다"며 "쉴 땐 갯벌에서 바지락을 캤는데 최근 농어가 좋아하는 가재 '쏙'이 많아졌다. 낚싯대를 잡고 농어 입질 기다리는 재미가 쏠쏠한 곳이 바로 여기"라고 답하면서 웃음을 보였다.
/기획취재팀
※ 기획취재팀
글 : 김대현, 김성주차장, 박현주기자
사진 : 임열수, 김용국부장, 조재현, 김금보, 김도우기자
편집 : 안광열차장, 장주석, 연주훈기자
그래픽 : 박성현, 성옥희차장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