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26.jpg
인천시청 청사 및 인천애뜰 /인천시 제공


정부안, 1792억 증액 3조8793억
공모·교부세 합하면 목표 달성

제조업·소부장 분야 대거 반영
삭감 사업도 설득작업 나서기로

인천시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대비 1천792억원이 늘어난 3조8천793억원의 국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진행 중인 각종 공모 사업과 10월 발표 예정인 보통교부세를 합하면 사상 최대치인 4조5천억원을 확보할 것으로 인천시는 전망했다.

13일 인천시가 분석한 정부 지원 주요 현안 사업은 서구 루원시티 개발 사업의 마중물이 될 인천지방국세청 독립청사 건립 부지 매입비 26억원, 서울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철도 사업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 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10억원,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 사업비 233억원 등이다.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소재·부품·장비 분야 핵심 기술 양성을 위한 사업비도 대거 확보했다.

남동스마트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사업비와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비 등 145억원, 소재·부품·장비 실증화 지원센터 구축비 20억원이 담겼다.

남동산단의 80%가 소재·부품·장비 관련 업체로 부품 국산화와 기술 강화 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과 AI(인공지능) 고급인재 양성 산학협력 프로젝트에도 모두 75억원이 반영됐다.

이 밖에도 공영주차장 16개소 건립비 362억원, 체육시설 신규 건립·개보수 비용 97억원, 국민체육센터 복합 공공시설 7개소 건립비 38억원 등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에 550억원을 확보했다.

인천시는 내년 국비에 반영되지 않았거나 일부 예산이 삭감된 ▲국지도 98호선(도계~마전) 도로개설(51억원) ▲부평동 일원 하수도재정비(23억원) ▲감염병 전문병원(23억원) 등 주요 사업에 대해서도 지역 국회의원과 협의해 100억~200억원 규모의 추가 국비 지원 설득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AI 거점화 도시 지정 등 인천형 뉴딜과 관련한 사업비 신규 확보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