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 산업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바이오 공정 인력양성 센터가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들어선다. 인천시는 관련 기업과 병원, 대학, 연구기관 등 기존 바이오 산업 체계에 국립 인력양성 기관까지 유치하면서 국제적인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할 여건을 마련했다.
인천시는 1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 공동 공모사업인 '한국형 NIBRT(국립바이오공정연구교육센터)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센터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인천테크노파크와 연세대학교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인력양성센터를 설립하고, 관련 교육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1천398억원이 투입된다. 바이오 인력양성센터 설립은 아시아에서 최초로 유럽·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다.
NIBRT(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는 첨단 바이오 공정 시설을 활용해 교육·연구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일랜드의 국립기관으로 정부는 이 시스템을 국내에 도입해 바이오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3년까지(생산시설 및 품질관리) 분야 신규 인력 수요는 1만6천554명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인력공급은 1만356명으로 수요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는 2023년까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송도)에 센터 건물을 신축하고, 2024년부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연간 2천명의 교육생을 배출할 예정이다. 양성된 인력은 송도에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 국내 대기업과 해외기업에 공급될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송도는 세계 주요도시와의 접근성, 국내교통의 편리성을 기반으로 우수한 입주기관 협력 인프라를 보유한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도시"라며 "인력양성센터 유치를 통해 인천은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 각종 연구소, 인력양성 등 3박자를 두루 갖춘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로 확고히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1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 공동 공모사업인 '한국형 NIBRT(국립바이오공정연구교육센터)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센터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인천테크노파크와 연세대학교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인력양성센터를 설립하고, 관련 교육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1천398억원이 투입된다. 바이오 인력양성센터 설립은 아시아에서 최초로 유럽·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다.
NIBRT(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는 첨단 바이오 공정 시설을 활용해 교육·연구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일랜드의 국립기관으로 정부는 이 시스템을 국내에 도입해 바이오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3년까지(생산시설 및 품질관리) 분야 신규 인력 수요는 1만6천554명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인력공급은 1만356명으로 수요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는 2023년까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송도)에 센터 건물을 신축하고, 2024년부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연간 2천명의 교육생을 배출할 예정이다. 양성된 인력은 송도에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 국내 대기업과 해외기업에 공급될 전망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송도는 세계 주요도시와의 접근성, 국내교통의 편리성을 기반으로 우수한 입주기관 협력 인프라를 보유한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도시"라며 "인력양성센터 유치를 통해 인천은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 각종 연구소, 인력양성 등 3박자를 두루 갖춘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로 확고히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