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평택항 황해를 넘어 세계로

[인천항 평택항-황해를 넘어 세계로]평택항, 분산된 관리주체

구심점 없고 재정 허약…'거버넌스 재정비'로 한계 넘어야

2020122101010007287.jpg
평택항은 대중국 무역 거점으로 지리적 이점을 갖고 있지만 도시 공간과의 단절 및 주거·관광 등의 인프라 부족으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사진은 평택항 항공사진 모습. 2020.12.21 /기획취재팀

경기·충남·평택·당진 이해관계 각각
지방정부 중심… 자본금 1천억 안돼
국가 주도·항만 통합 공사 출범 '조언'
"지방 분권으로 성공 모범사례 되길"


2020121801000794600040421
평택·당진항(이하 평택항)은 지난해 기준 총 화물 처리 실적 순위에서 전국 5위를 기록할 만큼 30여년의 짧은 항만 역사 속에서도 빠른 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평택항이 앞선 순위의 항만들과 경쟁하는 동시에 국제 무역항으로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거버넌스 구축이 시급하다.



부산항, 여수·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등은 국가주도형 항만공사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평택항은 관리 주체가 분산돼 발전 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처지이기 때문이다.

2020122101010007145.jpg
21일 오후 평택당진항국제여객부두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0.12.21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 복잡한 평택항 관리주체

부산항, 여수·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등 4개 항만은 항만공사법에 근거한 항만공사를 두고 있다. 해당 공사들은 항만시설의 개발 및 관리·운영 전반에 결정권을 갖고 자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대신 이들은 해양수산부의 지휘 감독을 받으면서 국회 국정감사를 받는다.

4개 항만과 달리 평택항은 관리 주체의 명확한 구심점이 없는 상태다.

경기도, 충청남도 등 광역자치단체와 평택시, 당진시 등 기초자치단체, 경기도 조례로 설립된 경기평택항만공사 등 각각의 이해관계가 다른 기관들이 평택항 관리·운영에 참여하고 있어서다.

여기에 지방정부 중심의 추진 체계를 갖고 있어 재정적인 한계도 명확하다. 국가항만공사 가운데 자본금 규모가 가장 작다는 울산항만공사의 자본금이 6천800억원 가량인데, 경기평택항만공사의 자본금은 울산항만공사의 6분의1 수준으로 1천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

이 같은 재정 규모 차이는 다른 항만과의 화물 유치 경쟁 또는 항로 발굴 등에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4개 항만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해수부 등 관련 부처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부로부터 원활한 정책·재정적 지원을 받는 것도 쉽지 않다. 한정된 재원으로 최대 효율을 이끌어내야 하는 정부는 부산항, 인천항 등을 우선 투자 대상으로 선정할 수밖에 없다.

'평택항 개항 30년사'에 수록된 주요 항만별 투자비(재정·민자 포함) 현황을 보면 2016~2020년 평균 투자비 비중은 부산항이 34%로 가장 높았고 울산항 16.6%, 인천항 11.3%, 평택항 7.7% 순이었다.

2020122101010007203.jpg
21일 오후 평택당진항국제여객부두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0.12.21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 거버넌스 체계 재정비

이처럼 평택항은 정부의 각종 정책·재정적 지원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는 상황이다. 평택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계획된 항만시설, 배후단지 개발 등도 재원 문제로 언제든지 지연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약점을 보완할 방법으로 '거버넌스 재정비'를 조언하고 있다.

거버넌스 재정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하나는 부산항, 인천항 등과 같이 국가주도형 항만공사를 설립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되면 평택항에 대한 정부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스럽게 투자가 늘어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현시점에서 평택항을 대상으로 한 단일 항만공사 설립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한편에서는 독자 항만공사 설립이 어렵다면 다른 항만들과 통합한 국내 5번째 항만공사 출범을 주장하기도 한다.

정현재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는 "결국 평택항이 지금보다 경쟁력 있는 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가재정이 투입돼야 한다. 지금 체계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바라는 것보다 항만공사를 설립해 정부 관심을 유도하는 게 빠르다"고 설명했다.

다른 하나는 현재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지방분권 기조에 발맞춰 평택항 관리 주체간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평택항 지속발전협의회를 정례화하고, 지자체간 행정협의회를 구성해 관리 주체간 협력관계를 조성하는 방식이다.

하나의 목소리로 정부에 항만 개발을 위한 예산 지원을 요구해 평택항의 재정적 한계를 극복하자는 아이디어다. 하지만 평택·당진간 매립지 관할권 다툼 등 거버넌스에 참여해야 하는 주체간 여러 갈등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숙제도 있다.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외국 같은 경우는 항만 관리 권한이 지방으로 분권화된 상황인데, 한국은 그렇지 않다"며 "부산항, 인천항처럼 항만공사를 설립한다 하더라도 정부의 예산 지원 혜택을 본다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평택항의 경우 지방정부 중심으로 관리해 분권으로 성공한 모범사례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획취재팀 

▶디지털 스페셜 바로가기 (사진을 클릭하세요!)  
untitled-1.jpg


※기획취재팀

글 : 최규원차장, 배재흥, 김태양기자

사진 : 조재현, 김금보, 김도우기자

편집 : 박준영차장, 장주석, 연주훈기자

그래픽 : 박성현, 성옥희차장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