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공유·문예 창작 공간 등 부족
타지역 문화시설 주로 이용 '심각'
지역화폐 할인·거버넌스 구축 제안

인천의 청년들에게 지역 사회가 '거주지'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려울 정도로 청년 문화가 활성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천연구원의 지적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인천시 청년문화 활성화 방안' 기초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월 기준 인천 지역 청년(만 19세 이상~39세 미만) 인구는 85만8천581명으로, 인천시 전체 인구의 29.1%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예술인으로 등록한 인천 청년예술인은 지난해 2월 기준 1천800명이다.

분야별로는 음악 489명(27.17%), 연극 353명(19.61%), 영화 228명(12.67%), 미술 197명(10.94%) 등이다. 인천 지역 대학교 10곳에 설치된 문화예술 관련 학과는 39개로, 지난해 입학 정원은 1천704명이었다. 지역 대학교 문화예술 동아리는 총 71개로 2천371명이 활동하고 있고, 대부분 음악 동아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청년 문화'를 20~30대 세대의 문화 향유·참여(생활문화)·활동(예술창작)으로 규정했다. 연구진 조사 결과 인천 지역에서 청년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공유 공간, 문화예술 창작·향유 공간은 모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가 운영하는 청년 전용 공간이 있긴 하지만 규모가 작고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인적자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지원사업 등도 부족해 청년들에게 인천 지역이 '거주지'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진이 지역 청년 문화 관계자 20명을 대상으로 한 정책 수요 조사에서도 인천 청년들이 타 지역 문화시설을 주로 이용하는 '역외 유출'이 심각하고, 문화·여가 활성화 정책 추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조사 대상자들은 인천시의 전자식 지역화폐인 '이음카드'와 연계한 '청년이음카드' 등 할인 제도 도입, 청년 문화 거버넌스 구축, 청년 문화 공간 확충, 관심사·취향 기반 자발적 모임 활동 지원 등을 제안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청년 문화 조사·연구 등 구체적인 후속 연구와 지원 제도 개선, 청년 문화 공간 조성, 관련 인력 양성, 활동 지원 등이 정책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영화 연구위원은 "청년 정책은 여전히 일자리 정책에 치중돼 있다"며 "청년들의 문화 수요, 취향, 욕구에 대한 후속 조사를 진행해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