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실업률 회복 추세 전환점
공공주도 등 4개분야 대책 수립
 

 

2020050401010000835.jpg

인천시는 올해 공공 주도 일자리사업 등을 통해 13만4천706개의 고부가 가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인천시는 최근 4대 분야, 13개 추진 전략, 65개 실천 과제로 구성한 2021년 일자리대책을 수립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올해를 고용 회복의 전환점으로 보고 대규모 공공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대책은 ▲공공 주도 일자리사업을 통한 코로나19 고용 충격 최소화 ▲전(全)생애 맞춤형 일자리 지원 및 지역특화 일자리 발굴 ▲인천형 뉴딜사업을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 ▲고용서비스 혁신과 노동친화적 환경 조성 등 4개 분야로 구성했다.

인천시는 희망근로와 지역방역일자리 등 공공 주도 일자리사업에 906억원을 투입하는 등 코로나19 고용 충격 최소화 분야에 1조1천923억원을 들여 1만6천899개 일자리를 만든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신규 채용 감소, 대면 서비스업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에 대한 고용을 유도하는 등 생애주기별·지역특화형 일자리(10만5천279개) 창출에 1조8천973억원을 투입한다.

바이오 사업으로 대표되는 인천형 뉴딜사업에는 5천646억원을 들여 2천680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고용서비스 인프라 혁신 등에는 131억원을 투입해 9천848명이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월 인천 지역 고용률은 방역 상황 개선 등으로 60%대를 회복했다. 실업률도 4.9%로, 전월 대비 1.3%p 줄어들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박남춘 시장은 "시민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연말에는 조금 더 나아진 경제, 고용 상황을 시민 여러분께 보여 드리겠다"고 말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