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구, 2018년후 대규모시설 7곳 허가
건물대형화로 화물차 통행증가 예상
인천연구원 "교통량 예측 등 필요"
인천시 중구 항동 일대에 대규모 물류창고가 잇따라 들어서고 있다. 규모가 작은 저층 창고가 다닥다닥 붙어 있던 공간에 고도화된 대규모 창고가 들어서는 것이다. 하지만 가까운 장소에 여러 물류센터가 한꺼번에 들어서게 되면서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27일 인천시와 중구 등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인천 중구 지역에서 건축 허가가 이뤄진 연면적 3만㎡ 이상 창고시설은 총 7개다. 중구 신흥동3가에 건립되고 있는 한 곳을 제외하면 모두 항동7가에서 건축이 이뤄지고 있다. 2019년 12월 착공한 한 물류창고는 지상 9층에 연면적 24만533㎡, 대지 면적 4만4천162㎡에 이른다.
인천 내항·연안부두와 가까운 항동7가에 6개의 대규모 물류창고가 조성되고 있으며, 순차적으로 운영을 시작해 2023년이면 모두 문을 열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물류창고는 인천항의 대규모 수출입 화물뿐 아니라 쿠팡과 마켓컬리 등과 같이 소규모 화물을 취급하는 물류·서비스 기업의 거점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대규모 물류창고 건립으로 일정 부문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물류창고 건설 과정뿐 아니라 운영 이후에도 일자리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다만 최저임금 수준의 일용직 일자리가 많은 창고업의 특성상 '좋은 일자리'는 많지 않을 수 있다.
가장 우려되는 지점은 화물차 통행 부문이다. 건물이 대형화되면서 화물차 통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인천시는 차량 통행량 증가치를 추산하지도 못하고 있다. 준공업지역에 조성되는 창고시설은 등록 절차만 거치면 영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통영향평가도 받지 않는다.
비대면 문화 확산 등으로 물류창고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 물류창고 건립은 더 늘어날 수 있다. 특히 인천은 경기 북부 등과 비교해 땅값이 비싸지만, 인력을 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앞으로 물류창고 건립이 늘어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물류창고가 특정 지역에 우후죽순 건립될 경우 예상하지 못한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건축 허가 과정에서 예측 교통량 등을 파악하고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연구원 김운수 연구위원은 "기존 창고는 대형 화물차가 낮은 빈도로 움직였다면, 새로 건축되는 물류창고는 소형 트럭이 더 자주 움직이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며 "지금까지 진행된 것은 두더라도, 향후 새로운 시설이 들어서는 과정에서는 교통량을 예측하고, 도로가 수용할 수 있고 주거 여건을 저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물류시설 소요와 전망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현황을 파악한 뒤 우려되는 지점 등을 포함해 개선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