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정부가 올해 주요하게 추진하는 업무계획 중 인천 지역 현안을 분석해 인천시가 담당 부서를 지정하거나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인천연구원 보고서를 통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이슈브리프 '중앙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본 2021년 인천시 정책방향' 보고서에서 올해 정부 부처별 업무보고와 인천시 주요 업무계획을 분석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중앙정부 업무 추진에 선도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직접 영향 사업'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첨단 부품소재 산업 관련 기업·연구시설 유치(산업통상자원부) ▲인천항 전자상거래 콜드체인 특화구역 활성화(해양수산부) ▲인천국제공항 스마트방역 시스템 구축(국토교통부) ▲수도권 대체 매립지 공모 관련 매립 가능 조건 강화와 특별지원금 제시(환경부) 등을 꼽았다.
이와 관련 인천연구원은 인천항 스마트물류, 경제자유구역 사업, 대체 매립지, 철도·도로 정책 등 중앙정부 업무보고에 있는 지역 현안에 대해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등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정부가 올해 추진하는 부문별 주요 지역 정책도 분석했는데, 인천시의 올해 주요 업무계획 범위 밖이라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연구진은 이들 중앙정부의 지역 정책에 대해 인천시가 실·국별 담당 부서를 지정해 인천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