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구는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자전거이용 활성화 우수단체 공모'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그간 추진해온 '안전하고 편리한 자전거 인프라 구축'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두루 인정받은 결과다. 서구가 공들인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의 첫걸음으로는 자전거 단체보험 가입을 들 수 있다. 서구에 주소를 두고 있는 구민이라면 누구나 안심하고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돕는 장치로 별도의 절차와 조건 없이도 자동으로 상해보험에 가입된다. 보험 가입 이후 2016년 113건, 2017년 118건, 2018년 181건, 2019년 193건, 2020년 306건으로 총 911건에 달하는 보험금을 지급했다. 총 지급액은 5억5천만원에 달한다. 이 밖에도 퍼스널 모빌리티(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교통수단)가 이동수단으로 급성장하는 시대 흐름에 발맞춰 지난해 8월, 공유 전기자전거를 전격 도입했다. 출퇴근 시 구민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고 근거리 이동의 활성화를 돕기 위함이다.
동서 7축·남북 4축으로 출발
생활권 자전거도로 등 조성
충전소 설치·단절된 도로 연결
현재 500여대의 카카오 T 바이크가 운영되고 있으며 공항철도 검암역·청라국제도시역, 인천 2호선 가정역·서구청역·아시아드경기장역·검암역 등 전철역 주변에서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이용률 제고에는 318개 노선과 총 길이 연장 300㎞에 이르는 넉넉한 자전거도로가 크게 한몫했다. 171개소에 달하는 자전거 보관대에는 총 3천100대의 자전거가 세워져 있다. 자전거 타고 싶은 도시란 수식어가 벌써부터 꽤 잘 어울린다.
서구는 올해부터 자전거 이용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자전거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먼저 관내 동서 7축·남북 4축의 주요 간선 자전거도로를 시작으로 생활권 자전거도로·자전거로 e음 8코스 조성과 함께 자전거 횡단도 정비·전기자전거 충전소 설치 등 자전거 이용시설 확충까지 담은 세부계획을 마련한다. 사업의 효과적인 진행을 위해 연계성, 안전성, 환경성, 편리성 등을 빠짐없이 고려함으로써 위험하고 노후화된 자전거도로와 단절된 자전거도로를 연결하는 것부터 해나갈 방침이다.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팀' 신설
기후변화 대응 굳은 의지도 담겨
지난 5월 조직 개편을 실시하면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팀'도 만들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이끌어 교통분담률 제고와 구민 건강증진을 실현하는 것과 동시에 세계의 화두로 떠오른 기후변화에도 적극 대응해 나간다는 굳은 의지의 출발점이다. 현재 1.7%인 서구의 자전거 이용 교통 분담률을 3배 수준인 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 아래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끄는 연결고리도 마련한다. 9월부터 운영 예정인 자전거 마일리지제가 대표적이다. 일명 '다 같이 돌자! 지구 백 바퀴'로 1㎞당 15원의 환경 마일리지를 제공해 지구 둘레인 4만㎞를 100바퀴 돌면 총 6천만원의 마일리지를 모으는 사업이다.
서구 주민이 힘을 합해 지구 100바퀴를 돌면 지구도 살리고 건강도 챙기고 마일리지도 쌓는 '일석삼조'의 행운을 누릴 수 있다. 이제 자전거 타기는 대기오염 없는 맑은 하늘과 건강하고 활력 넘치는 도시, 맛집과 멋집이 어우러진 골목상권 활성화에 있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안전이다. 서구는 이와 관련해서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친환경 녹색성장을 발판 삼아 국제환경도시에 걸맞은 자전거 명품도시 서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철 인천 서구 도시주택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