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만과 수산 분야 해양 정책에 집중해온 인천시가 해양 환경 분야를 전담하는 '해양환경과'를 신설하기로 했다. 갯벌과 해양 동식물, 해양쓰레기 수거 등 그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했던 해양환경 분야 정책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9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 연말 조직 개편을 추진하고 있는 인천시는 해양항공국 내에 해양환경과를 신설할 방침이다. 해양환경과는 해양환경정화팀, 해양환경정책팀, 해양생태보전팀 등 3개 팀으로 구성된다.
市, 전담 '해양환경과' 신설 예정
정화·정책·보전 3개 팀으로 구성
해양환경과는 옹진군과 강화군 등 도서 지역 해양 환경 조사와 해양쓰레기 수거 등을 맡고 있는 '도서지원과' 내 해양환경팀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해양쓰레기 조사·수거 업무를 맡는 해양환경정화팀은 인천시 해양환경정화선 '씨클린호'를 관리·운영하며 해양쓰레기 수거 업무를 중점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이 팀은 해양폐기물과 오염 퇴적물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한다. 한강 하구에서 유입되는 쓰레기 수거·처리도 확대 실시하는 등 해양은 물론 하천 정화사업도 진행한다. 이외에도 해양 수질 조사와 해양 오염 사고 대응 등을 맡는다.
해양 환경 관리 업무를 하는 해양환경정책팀은 해양 환경 관련 과제를 발굴하고 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해양수산부의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된 인천 연안을 관리하는 데 협력한다. 서울에 있는 해양환경공단 등을 인천에 유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해양환경정책팀에서 담당한다.
해양생태보전팀은 갯벌과 해양 생태 축을 복원하고, 해양보호구역 지정·확대·관리 업무를 맡는다. 또 바다 골재를 채취하는 해역 일대를 관리하고, 백령도 일대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331호 점박이물범 등을 포함한 여러 해양 생물을 보호·관리하는 데 나선다.
'쓰레기 저감 계획' 집중적 이행
조직개편으로 섬지역 세부 지원
인천시는 해양환경과를 신설해 지난 5월 발표한 '인천시 해양쓰레기 저감 종합계획(2021~2025)'을 집중적으로 시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은 해양쓰레기 발생원을 관리하고 수거·운반 체계 개선, 처리 방안 등을 이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천시는 12월께 해양환경과 신설 등을 담은 조직 개편안을 인천시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해양환경과를 신설하면 섬과 해양 전반에 대해 더욱 세부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 등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