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_4.jpg
사진은 현재 농경지로 이루어져 있는 계양테크노밸리 일대 모습. /경인일보DB
 

지리적으로 맞닿아 있는 3기 신도시 인천 계양테크노밸리와 부천 대장지구가 동일 생활권으로 엮일 가능성이 큰 만큼, 도시 행정을 연계할 필요성이 크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16일 발표한 '계양신도시 및 대장신도시 간 통합도시계획 필요성과 과제' 보고서를 보면, 행정구역이 인천인 계양테크노밸리(333만1천㎡)와 경기 부천인 대장지구(343만4천㎡)는 위치가 인접해 있어 하나의 신도시 기능을 할 가능성이 크다.

행정구역은 나뉘지만 동일 생활권
개발사업 완료땐 주민불편 불가피


두 신도시는 행정 구역이 나뉘지만 생활권은 일치하면서 이에 따른 주민 불편이 커질 것으로 인천연구원은 분석했다. 학생들의 학교 배정부터 소방서·경찰서 관할 구역, 문화·체육시설 이용, 도로 관리 책임, 대중교통 노선 등 주민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불편 사례가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두 신도시가 위치한 곳에는 환경기초시설인 하수·폐기물 처리시설이 있는 만큼, 신도시 건설 후 환경 문제로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두 신도시가 조성되면 환경기초시설의 증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인천과 부천 간 광역시설로 운영해 예산과 인력을 공동 부담·배치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게 인천연구원 연구진의 지적이다.

인천연구원은 기존 시가지와 신규 개발지역 간 토지 이용 연계성 부족, 베드타운화, 공항 주변 높이 규제로 인한 주거 환경 저하, 광역교통 개선 및 교통 연계 대책 부족 등도 신도시 조성 후 예상되는 문제로 꼽았다.

인천연구원은 두 지자체 간 경계 지역을 도로·하천·녹지 등 지형은 물론 경제권 등을 종합해서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선 인천·부천·서울 경계에 있는 필지를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환경기초시설 위치 민원발생 우려
인천·부천·서울 경계 필지 조정을


보고서에는 두 신도시를 원활하게 관리하기 위해 통합 도시계획을 구축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마련돼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인천연구원은 신도시의 환경 저해 요소가 될 수 있는 환경기초시설과 공항 등 시설물에 대해 논의할 지방자치단체 간 협의체도 필요하다고 봤다.

또 대중교통망 연계, 도서관·체육시설 등 공공 문화시설 공유, 통학권 조정 등 도시 행정이 연계될 수 있도록 광역적 도시계획·도시관리를 담당하는 행정기구를 설치해야 한다고 했다.

이종현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두 신도시는 행정구역이 달라도 단일 생활권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며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해선 소규모 광역도시계획 개념을 적용해 이를 실행할 행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