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3.jpg
수원시 한 산부인과 신생아실이 출생아 감소로 한산한 모습. /경인일보DB
 

'분만 포기'를 선언한 경기도 내 산부인과가 갈수록 늘면서 '분만취약지' 산모들의 걱정은 물론 산부인과 인프라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게다가 과천시와 가평군 등 도내 지자체 4곳은 분만실이 있는 산부인과가 한 곳도 없어 원정 출산을 떠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따르면 도내 분만 기관은 지난 2016년 137곳에서 지난 6월 100곳으로 37곳이나 줄었다. 분만 건수 또한 2016년 10만1천592건에서 지난해 7만1천814건으로 3만여 건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기준 과천시와 의왕시, 하남시, 가평군은 분만실이 있는 산부인과가 한 곳도 없었다.

과천시 등 도심지는 분만하는 산부인과가 인근 지역에 많지만 가평군처럼 1시간 내로 갈 수 있는 산부인과가 적은 분만취약지의 상황은 다르다. 보건복지부가 매년 조사하는 분만취약지도 양평군과 연천군, 가평군, 여주시, 포천시 순으로 5곳 모두 도농복합지역에 해당했다.

 

분만 건수·병원 해마다 줄어들어… 과천·의왕·하남·가평 분만실 '0'
양평 등 도농복합지역 취약… 도심 대형병원 몰려 인프라 붕괴 우려


산부인과가 낮은 분만 수가를 감당하면서 24시간 내내 운영하려면 신생아가 많아야 하는데, 출산율은 갈수록 떨어지는 데다 늘어나는 고령 산모들은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병원이 아닌, 도심 대형병원으로 발걸음을 돌려 산부인과 인프라 붕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실제 한 번의 유산 경험이 있는 산모 A(31·평택)씨는 "아기를 출산할 때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고 산후조리원도 연계돼 있어 화성의 대형병원에서 출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시험관으로 아이를 출산한 40대 B(양평군)씨도 간단한 진료 외에는 모두 서울 대형병원에서 해결했다.

이에 복지부는 올해 117억원을 투입해 분만취약지 내 분만실 신설과 운영비 지원 등에 나섰지만 이미 출산율이 낮은 도내 시·군 산부인과들은 선뜻 지원 사업을 신청하지 않고 있다. 올해 도내 분만취약지 중에는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만 운영비 지원을 받아 분만실을 운영하기로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복지부가 50%, 도가 25%의 예산을 지원하는 데도 시·군 내 산부인과가 신청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고, 양평군 관계자는 "분만실이 왜 없느냐는 민원도 들어온다. 하지만 아무리 신청 공고를 내도 이미 400명대까지 신생아 수가 감소해 군내 산부인과들이 신청하지 않는다. 서울이나 구리시 등의 분만을 하는 산부인과와 협약을 맺는 등의 방법으로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토로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