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 국정감사에서 항공 MRO 클러스터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제안 등 다양한 인천공항 활성화 방안이 제시됐다. 인천공항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자기부상열차를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 15일 인천공항공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더불어민주당 김교흥(인천 서갑) 의원은 "최근 IAI(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 등 외국 MRO 기업을 유치했는데, 이들이 제대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인천공항 MRO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야 경쟁력이 올라갈 수 있다"고 했다.  


김교흥 인천공항 국감서 지정 제기
김경욱사장 "부품등 도입 면세 필요"
국토부 "관련있는 경제부처와 논의"


이에 대해 김경욱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부품 등을 도입할 때 관세 면제가 필요하다. 자유무역지역 지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국토교통부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위해 산업부 등 경제 부처와 논의하겠다"고 답변했다.

국토부가 인천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국민의힘 김상훈(대구 서) 의원은 "통합 항공사의 운수권이나 슬롯을 제한하는 조치가 결정되면, 결국 이익을 보는 것은 외국 항공사"라며 "두 항공사의 인수합병은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통합 항공사에 슬롯 제한 등이 가해지면 인천공항 활성화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공항과 국적항공사는 상생 관계"라고 강조했다.

김상훈 "항공사 통합에 적극나서야"


인천공항공사가 운영하는 자기부상열차는 철거 필요성이 대두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상혁(경기 김포을) 의원은 "자기부상열차는 이용객이 예측치의 11%에 불과하고 향후 30년간 유지·운영비로 5천억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있다. 운영 중단(철거)을 포함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말해달라"고 질의했다.

이에 김경욱 사장은 "자기부상열차 운영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국토부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자기부상열차는 이용객이 저조하고, 철거 비용(500억원) 대비 운영 비용(30년간 5천억원)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공항공사가 철거 필요성을 공식적으로 제기한 만큼, 철거 여부 등 향후 운용 방안과 관련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공항 활주로 예정 부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스카이72'(골프장)와 관련해 인천공항공사가 수백억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상혁 의원이 스카이72가 시설물 등을 양도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손실 규모에 대해 질의하자, 김경욱 사장은 "연간 400억원 정도"라고 답했다. 박 의원은 "스카이72와 같은 분쟁이 선례로 남아 공공자산을 침해하는 사례가 계속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재발 방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국감은 인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항공안전기술원, 국립항공박물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국토위 소속 의원들은 이날 질의를 마친 뒤 인천공항 4단계 건설 현장 등을 둘러봤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