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작년부터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을 더 쉽게 파악하는 '지능형 역학조사 시스템'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때아닌 갑질 논란이 일고 있다. 부천시가 이 사업을 수행하는 업체를 상대로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비협조적인 행태를 일삼았다는 주장이 최근 제기됐기 때문이다.

24일 부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작년부터 사업비 21억원(국비 16억원, 시비 5억원)을 들여 관내 CCTV(1만820여대)와 인공지능(AI) 얼굴인식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역학조사 시스템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시스템은 역학조사 절차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평균 하루 이상 소요되던 코로나19 확진자의 이동 경로 도출 등 역학조사 분석 시간이 10분 이내로 단축된다는 게 장점이다.

해당 시스템 구축은 A사 등 4개 회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지난해 6월부터 맡아 진행 중이다. 애초 지난 15일 본격적으로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이날 현재 기준 80%대 공정률을 나타내고 있다.  


AI 얼굴인식기술 결합 도입 추진
컨소시엄 관계자가 SNS 통해 고발


이런 가운데 최근 컨소시엄을 맡은 모 업체 소속 한 관계자가 페이스북에 부천시의 갑질을 고발하는 형태의 글을 올린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다. 만약 이 같은 글이 사실인 것으로 드러날 경우 적잖은 파장이 예고된다.

공정한 평가를 통해 사업을 수주했다는 B씨는 페이스북을 통해 "부천시는 기술 협상 과정부터 합리적인 근거 없이 검증된 인력 교체를 요구했고 회사 핵심 기술자 역시 교체를 강요했다"며 "최근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는 단계에서도 인력 교체를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술 협상 과정에서 책임자가 협의할 기회도 주지 않았다. 모든 회의는 공무원의 일장연설이었고 협력 분위기는 전혀 없었다"면서 "시의 비협조적인 행태로 데이터셋 구축을 위한 촬영 협조뿐 아니라 역학조사관 인터뷰 등 수개월 간 프로젝트는 시작도 못 한 채 계속 시달리기만 했다"고 덧붙였다.

"합리적인 근거 없이 인력 교체 요구
기술 협상서 협의할 기회 주지않아"
市 "우리가 을"… 해당글 삭제 상태


B씨는 작년에만 100여 건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는데 시의 악질적인 갑질에 빠져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지연 등 허우적대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해당 사업과 관련한 갑질 논란이 SNS 등을 통해 일파만파 퍼지면서 사실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모 업체의 갑질 주장에 대해)전문가가 아닌 시에서 과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PM 교체 등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며 "해당 업체에선 처음부터 구체적인 제안도 제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공식적인 회의 자리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이런 기업의 태도가 첫 협상 때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갑이 아니고 을의 처지"라고 밝혔다.

한편 B씨가 페이스북에 남긴 글은 현재 삭제됐다.

부천/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