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각을 자극하는 중국요리 문화사·(2)] 한국 중국집의 역사

'중국집' 명칭, 1920년대 신문에 등장

KakaoTalk_20220401_194836191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이정희 교수가 1일 진행된 '2022년 인천대 중국·화교문화연구소 지역인문학센터 시민강좌'에서 비대면 화상회의 프로그램 줌(ZOOM)으로 '한국 중국집의 역사'를 주제로 강연했다. 2022.4.1 /인천대 중국·화교문화연구소 지역인문학센터 제공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화도진도서관, 구산동도서관마을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경인일보 등이 후원하는 '2022년 인천대 중국·화교문화연구소 지역인문학센터 시민강좌'의 '미각을 자극하는 중국요리의 문화사'두번째 강좌가 1일 오후 7시30분부터 8시30분까지 비대면 화상회의 프로그램 줌(ZOOM)으로 열렸다.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이정희 교수가 '한국 중국집의 역사'를 주제로 강연했다. → 편집자주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중국집'의 명칭은 언제부터 등장한 것일까. 1920년대 한국어 신문에 등장하는 '중국집'은 '중국요리점'의 준말로 사용됐다.

한국 최초의 '중국집'은 인천과 서울에서 탄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1882년 10월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로 근대 중국인의 한반도 이주가 시작됐는데, 인천과 서울에 가장 먼저 중국인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인천에는 1884년 중국인이 경영하는 호텔인 '이태잔'(스튜워드 호텔)이 현재의 차이나타운에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중국식 여관인 '객잔'도 많았다.



서울에는 1889년 호텔인 '이태주점'(怡泰酒店)과 호떡집인 '복성면포방'(福星麵包房)이 영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호텔과 객잔은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이곳은 초창기 '중국집'의 역할을 했다.

1906년 인천에는 중국집인 '연남루'(燕南樓), '동흥루'(東興樓), '합흥관'(合興館), '사합관'(四合館), '동해루'(東海樓), '흥륭관'(興隆館)이 영업하고 있었다. 최초의 중국집으로 알려진 공화춘은 1912년에 개업했다.

'중국요리점' 준말로 쓰여 대중화
최초 중국집 공화춘, 1912년 개업
인천 아닌 서울서 먼저라는 설도

 


일제강점기 중국집의 수는 많이 증가했다. 1930년 10월 화교 경영의 중국집은 2천774개에 달했다. 대도시뿐 아니라 지방의 중소도시에도 중국집이 영업했다. 1920년대가 되면 중국요리가 조선 전역으로 퍼져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서울에는 '사해루'(四海樓), '금곡원'(金谷園), '열빈루'(悅賓樓), '대관원'(大觀園), '아서원'(雅敍園), '복해헌'(福海軒), '마화'(馬華), '제일루'(第一樓) 등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중국집이 많았다.

인천의 '중화루'와 '동흥루', '공화춘'도 서울 대형 중국집과 비교하면 손색이 없었다. 이들 대형 중국집은 해방 이후에도 영업을 계속했으며, 1970년대 문을 닫을 때까지 큰 인기를 끌었다.

중국집의 주요한 메뉴는 우동, 잡채, 탕수육, 양장피였다. 우동은 가격이 30전 정도로 저렴해 중국집의 대표적인 요리였다. 현재 중국집의 대표 요리인 자장면은 일제강점기 발행되던 신문의 기사에 등장하지 않는 점을 보면 자장면이 대중화한 것은 해방 이후가 아닐까 한다.

대형 중국집은 여러 명의 주주로 구성된 합자 조직으로 설립됐다. 자본가는 자금을 제공한 동가와 노동력을 제공한 서가로 구분됐고, 중국집 관련 일체의 경영은 서가 측의 지배인과 부지배인에게 일임됐다.

대형 중국집은 역사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조선공산당 창당대회가 비밀리에 개최된 곳은 서울의 '아서원'이었고,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한 나석주가 중국에서 인천으로 입항해서 숙박한 곳은 공화춘이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22040101000040500001122



경인일보 포토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김주엽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