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2.jpg
신항 배후단지 1단계 1구역이 포함된 인천 신항 일대. /경인일보DB

 

온도 변화에 민감한 식·의약품의 변질과 오염을 방지하는 콜드체인 사업에 대해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이에 따라 인천항에 추진 중인 '콜드체인 클러스터'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정일영(인천 연수을) 의원은 16일 콜드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국가 재정 지원 근거를 마련한 물류정책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콜드체인 기술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백신 등 의약품 유통량이 늘어나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019년 675억5천만 달러의 거래 규모를 기록한 콜드체인 시장은 2024년에는 1천684억5천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식품이나 의약품뿐 아니라 반도체에 필요한 화학소재까지 콜드체인 유통 범위가 확대되면서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콜드체인 기술을 개발하는 업체는 재정 여력이 적은 중소·중견기업 비중이 높아 국가 차원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식의약품 '변질·오염' 방지 사업
정일영 의원, 재정 지원 법안 발의


이번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인천 송도 신항배후단지에 조성될 예정인 초대형·초저온 복합물류단지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송도국제도시 10공구 1-1구역에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복합물류단지에는 '콜드체인 클러스터'도 조성될 예정이다. 콜드체인 클러스터는 인천 신항 인근의 한국가스공사 LNG 인수기지에서 발생하는 영하 162℃의 초저온 냉열에너지를 활용해 연간 29만t의 냉동·냉장 화물을 처리할 수 있다.

정일영 의원은 "개정안이 통과된다면 국내 콜드체인 물류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2012년 21위에서 2018년 25위로 하락한 한국의 물류경쟁력 순위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