ㅍㄴㅍㄴㅍ.jpg
인천시청사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지역 경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담 조직을 설립한다.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연구원과 함께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설치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는 '인천 경제 현황 파악'에 주력하는 조직이다. 인천시는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 경제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기반으로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때그때 나오는 자료만으로는 지역의 경제 상황을 온전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올해 초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비롯해 요소수 대란, 미·중 무역전쟁 등 경제관련 이슈도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 설립 추진의 배경이 됐다.

현재 인천시는 경제관련 이슈가 발생하면 관련산업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는 "경제 위기 대응 매뉴얼이 없고, 위기 대응 전문성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지금의 방식으로는 경제 위기 상황에 빠른 대응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이슈 대처 매뉴얼 부재 등 지적
내년 초 '추진단' 시범운영 예정
지역특화 맞춤형 대책 마련 기대


인천시는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경제 위기 대응 컨트롤 타워'로 운영한다. 이슈가 터진 후에야 현황 파악에 나서는 게 아닌, 경제 위기 발생 전에 상시로 지역의 경제 동향을 파악해놓겠다는 게 인천시 구상이다. 위기에 즉각 대응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겠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경제관련 연구위원·연구원으로 구성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인천연구원에 설치할 계획이다.

다만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를 운영하는 데에는 인건비 등 수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우선 내년 초 '추진단'을 설치해 시범 운영을 한 뒤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의 구체적 운영 방향을 정할 예정이다.

추진단 구성에 필요한 출연금 약 2억5천만원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할 방침이다. 추진단에서 센터로 확대 개편하는 건 2024년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 위기 대응 컨트롤 타워로 경제동향분석센터를 설치한 도시는 부산시,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 4곳이다.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는 경제 위기 대응 시스템 운영 및 네트워크 구축, 경제 위기 대응 매뉴얼 작성 등을 주요 업무로 정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인천 경제·산업에 특화된 상시 조직이 필요하다"며 "전문가로 구성된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가 생기면 경제 대책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