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발전소 스케치
남근우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연구위원이 4일 발표한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인천시의 남북협력 정책과 과제' 보고서에서 접경 수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활용해 탄소중립 분야에서 남북협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제언을 했다. 사진은 인천시 서구 정서진에서 바라본 화력발전소들의 대형 굴뚝에서 수증기가 가득 피어오르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인천시가 접경 수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활용해 탄소중립 분야에서 남북협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남근우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연구위원은 4일 발표한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인천시의 남북협력 정책과 과제' 보고서에서 이 같은 의견을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국가전략' 중 남북 기후환경협력 추진과제는 DMZ를 중심으로 한다. DMZ에는 거주하는 인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후환경과 관련해 남북 협력을 모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게 인천연구원 설명이다.

남근우 연구위원은 북한과 맞닿아있는 인천 '서해'와 '한강하구'에 주목했다.

그는 "서해와 한강하구로 접한 인천과 북한의 남포시, 황해남도는 자연재해의 피해를 공유한다"며 "산림과 습지, 재생에너지 등 북한의 탄소중립과 관련한 정책 수요 역시 서해와 한강하구에 몰려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는 기후변화 피해에 취약한 북한의 상황에 직접적으로 영향받을 가능성이 크다. 인천시 차원에서 남북협력에 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北 맞닿은 서해·한강하구 주목
국제기구 활용해 소통채널 확보


대북 제재와 남북 관계 경색 국면 속에서도 환경분야 국제기구를 활용한 남북 간 협력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은 현재 EAAFP(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등 국제기구에 가입해 활동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구를 활용해 남북 소통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남근우 연구위원은 "환경관련 일부 국제기구는 이메일이나 화상회의 등으로 북한과의 소통을 지속하고 있다"며 "그런 국제기구들이 주관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접근하면 북한과 자연스럽게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남근우 연구위원은 접경 수역에 걸친 환경 의제를 국제적으로 알리는 활동도 필요하다고 했다. 더불어 중앙정부 차원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인천시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제언도 남겼다.

그는 "인천시가 인천 서해나 한강 하구 등을 가진 도시로서 남북 협력을 이끌 수 있는 움직임을 보일 필요가 있다"며 "'2050 인천시 탄소중립 전략'에 인천형 남북협력 실천과제를 반영하는 등의 내용을 검토해볼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