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년 인구 이탈을 막고 청년 세대가 아이를 키우는 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선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한 육아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인천연구원 제언이 나왔다.
1일 인천연구원이 내놓은 '인천시 육아친화 환경 조성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 지역 만 19~39세 청년이 일정한 곳에 자리 잡고 살겠다는 정주 의사는 교육 환경 만족도, 지역 아동·청소년이 존중받는 정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년간 인구비율 평균 29.9% 감소세
가족단위 유입에도 적정시설 부족
이번 연구는 인천의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육아 친화적 환경 조성을 목표로 10개 군·구 육아 환경을 진단해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뤄졌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인천 청년 인구 비율은 평균 29.9%로 큰 변동이 없지만, 줄어드는 추세다. 청년 인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연령대는 만 35~39세이고, 청년 인구 전체의 51.8%는 가정을 꾸린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연구원은 청년이 가족을 형성하는 주된 시기인 만큼 청년 정책을 개인 단위로 지원하는 주거·일자리 정책에서 벗어나 가족 단위로 확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인천연구원이 각 기초단체의 육아 여건을 분석한 결과 연수구와 서구는 육아 인프라 공급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연수구와 서구는 국제도시와 대규모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가족 단위 인구 유입에 따른 아동 수가 늘었다. 그러나 아동 수에 대비한 적정 육아시설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연구원은 도시계획 단계에서 보육시설 부지 확보를 의무화하거나, 주기적으로 아동 인구를 파악해 수요와 공급에 맞는 육아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강화·옹진군·중구 접근성도 취약
돌봄 친화적 일터·공동체 논의 필요
강화군과 옹진군은 육아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데다, 중구와 함께 육아 인프라 접근성도 취약했다. 인천연구원은 이들 지역에 육아시설 공급은 물론, 기존 시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인천연구원은 청년이 일하면서 자녀를 돌볼 수 있도록 육아 친화적 일터를 조성하고, 지역 내 육아공동체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정책 논의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인천연구원 관계자는 "인천은 기초단체별 주거 환경이 확연하게 다르기 때문에 각 지역 특색을 반영해 청년·육아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청년 인구가 장기간 인천에 거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육아 인프라를 확충하거나 접근성을 향상하는 등 지역 상황을 고려한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 표 참조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