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사는 이주청소년이 학교 교육을 받을 때 불리하지 않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천연구원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최근 낸 기획연구과제 '인천시 이주청소년의 학업생활 실태와 지원 :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중·고교생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인천지역 외국인가정의 자녀 수는 2013년 295명에서 지난해 2천863명으로 증가했다. 중·고등학생도 75명에서 841명으로 증가했는데, 이 중 고등학생 증가율은 약 1천100%에 달한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연수구 함박마을에 거주하는 러시아·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 가정의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이주청소년은 한국어 소통 능력에 따라 학습·성적, 교사·교우관계 등 학업생활 전반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나 교사의 외국인 포용 능력에 따라 도움을 받는 정도가 달라지고, 진학·취업 등의 정보 부족으로 미래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게 연구진 분석이다.
인천연구원, 함박마을 면담조사
유엔아동협약상 권리 보장 강조
언어·심리적 지원 등 정책 제안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이주청소년은 체류 자격과 무관하게 '유엔아동권리협약' 정신에 따라 교육받을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주청소년이 학교생활에서 겪는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언어적 지원' '심리 및 정서 지원' '포용 기반 강화'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이주청소년이 한국어 학습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한국어 학급을 충분히 개설해야 한다고 봤다. 사춘기에 있는 이주청소년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상담 통역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주청소년은 국적과 체류 자격에 따라 여권이나 비자를 연장해야 한다. 이럴 경우 본국에 다녀와야 해 학교 수업을 빠질 수밖에 없다. 연구진은 이주청소년의 특수상황을 고려해 교육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미인정 결석'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인천연구원 배은주 도시사회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외국인 가정 초등학생 자녀들은 지역사회에서 지원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한국에 중도입국한 중·고등학생 이주청소년은 그렇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이주청소년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장기적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