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감학원 특별기획

[선감학원, 악몽을 살다] 나와보니 캄캄한 현실 속… 탈출은 없었다

5년이 바꾼 59년, 수명씨 이야기
입력 2022-11-22 14:40 수정 2023-01-16 10:45

2022112101000834600037051.jpg
길거리에서 부랑아들을 '청소'한다는 명목으로 부산 형제복지원에 잡혀들어온 하수명(59)씨는 이후 선감학원으로 이송된 뒤에도 갖은 폭력에 시달리다 탈출했다. 21일 오후 혼자 식사 준비를 하는 하수명 씨. 2022.11.2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우울, 고독, 생활고'.

하수명씨의 쉰 아홉 인생을 압축하면 온갖 부정의 단어들로 얼룩진다. 수명씨에겐 지우고 싶지만 지울 수 없고, 잊고 싶지만 잊을 수 없는 '5년'이 있다. 11살에 부산 형제복지원에 수용됐다 전원돼 13살에 안산 선감학원에 수용됐던 그 5년이다. 5년은 59년 삶을 우울에 시달리게 만들었고 평생 외톨이로 고독하게 했으며, 생활고를 겪게 했다. 

형제복지원에서 선감학원으로…
유년기 5년간 붙잡혀가 수용 생활
탈출후 수십년간 고통스러운 기억

"형제복지원과 선감학원에 수감된 기억들에서 좀 벗어나야 하는데, 그 생각들이 자꾸만 머릿속에 맴돌아요. 그때 감정과 생각에 사로잡혀있으니 밝은 생각을 하기 힘들고요. 거기에서부터 내 인생 모든 게 이렇게 (잘못)됐다는 생각도 많이 듭니다." 

 

수명씨는 그저 '남에게 민폐 안 끼치고 깨끗이 죽는 것'이 남은 인생의 계획이라고 말했다. 두 곳에서 있었던 기억이 떠오르는 매 순간 그의 자존감은 바닥으로 떨어졌다.

오랜 시간 기억의 고통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이제는 헤어나오기 힘들 수준의 우울증을 겪고 있다. 가족도 없고, 왕래하는 친구도 없이 홀로 살아온 수명씨는 '당장 먹고 살기 위해' 일감을 찾아다니는 게 인생의 전부다.

2022112101000834600037052.jpg
길거리에서 부랑아들을 '청소'한다는 명목으로 부산 형제복지원에 잡혀들어온 하수명(59)씨는 이후 선감학원으로 이송된 뒤에도 갖은 폭력에 시달리다 탈출했다. 사진은 구타로 머리에 새겨진 흉터. 2022.11.2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2022112101000834600037053.jpg
부랑아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부산 형제복지원 2년, 선감학원 3년 총 5년 동안 인권유린 시설에 갇혔던 하수명(59)씨의 손. 그는 중학교 2학년이 되던 해에 선감학원을 탈출했지만, 제대로된 교육과 국가 행정의 도움을 받지 못해 식당일 20년, 구두닦이 20년, 막노동 5년 등 생활고에 시달려 단 하루도 쉬지 못한채 갖은 노동을 겪으며 손이 멍들고 퉁퉁 부어있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선감학원 탈출하고 3일 동안 동인천역에서 먹을 거 하나 없이 노숙했어요. 일할 곳이 없어 전전긍긍하다 한 식당에서 절 받아줬고 20년 동안 그 식당에서 일했죠. 식당에서 더 일할 수 없게 되자 기술이나 교육이 필요 없는 일거리를 찾아 서울, 성남, 충청남도 등 전국 방방곡곡을 다녔어요. 그렇게 막노동만 5년정도 하다 지금은 구두닦이로 20년째 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민증도 못 만들어 생활고
국가·지자체 도움 없이 심신 지쳐

수명씨는 형제복지원과 선감학원에 있으면서 제대로 배우고 성장하지 못했다. 선감학원을 탈출한 후에도 교육을 받지 못했고 국가, 지자체의 보살핌을 받지도 못했다. 수명씨는 주민등록증도 만들지 못한 채 쉰살이 넘도록 살았다. 취업을 하고 싶어 주민등록증을 만들려 행정기관을 찾아도 번번이 '퇴짜'를 맞았다. 평생 국가는 수명씨를 외면했다. 그는 '유령'으로 살아야만 했다.



"일을 하고 싶어도 주민등록증이 없으니 아무도 절 받아주지 않았어요. 몇 번을 (행정) 기관에 가서 만들어 달라 해도 이유도 제대로 설명 안 해주고 서류가 부족하다면서 무시당했죠. 그러다 보니 누굴 만나도 자신이 없고 결혼도 못하고 가족도 만들지 못했죠. 주민등록증 하나만 있었으면 했어요."

겨우 5년 전에야 충남 아산시청 직원의 도움으로 겨우 주민등록증을 만들었다. 기초생활수급비도 받을 수 있게 됐다. 국가가 망가트린 인생, 조금만 더 일찍 손을 내밀었다면. 내년이면 벌써 예순이다. 지금 그에게 남겨진 건 혹독했던 지난 인생으로 지칠 대로 지치고 악화된 심신뿐이다. 

 

20221121010003720_1.jpg
부랑아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부산 형제복지원 2년, 선감학원 3년 총 5년 동안 인권유린 시설에 갇혔던 하수명(59)씨. 시설에 수용된 당시를 떠올리며 눈물을 보이고 있다. /김동현기자 kdhit@kyeongin.com

이유 없이 사람 잡아간 책임자들은 꼭 대가 치르게 해야 

하수명(59)씨가 기억하는 형제복지원과 선감학원, 두 부랑아 수용시설은 어떤 곳일까. 그는 망설임 없이 '죽을 때까지 맞는 곳'이라 표현했다. 죽을 때까지 맞아야 했던 그 곳에서 수명씨 나이는 고작 10~14살 무렵. 선감학원서 나온 지 50년 가까이가 지났지만, 지금도 그 처참한 기억은 너무나 구체적이고 또렷하다. 

"죽을 때까지 맞아야 되는 곳" 기억
공장 할당량 맞추지 못할 때 '매질'
"부산 형제복지원에서는 정말로 죽다 살아났어요. 매일 낚시공장에 투입됐는데, 30분마다 직원이 작업량을 확인하러 다녔어요. 30분간 10개를 만들라 했는데, 10개를 못 채우면 못 채운 숫자대로 손바닥을 맞았어요. 제가 작업량을 계속 못 채우니까 직원이 손바닥을 있는 힘껏 때리는데, 본능적으로 손을 피했어요. 그러니까 몽둥이로 머리랑 몸을 사정없이 두들겨 팼어요. 몸이 조그마하니까 이쪽으로 던지고 저쪽으로 던지고 그랬죠. 계속 맞다가 '그냥 날 죽이라고' 생각이 들 때쯤 기절했고 그제야 매질이 끝났어요. 일하다 쉴 때도 하루에 수십 대씩 맞았어요. 지옥 그 자체였죠." 

 

형제복지원에서 보낸 2년은 지옥이었다. 그러던 중 시설 수용 인원이 가득 차 수명씨는 전원이 결정됐는데, 그렇게 간 곳이 선감학원이었다. 선감학원도 폭력으로 얼룩지긴 마찬가지였다. 

 

끼니 꽁보리밥·반찬 재배 강제노역
멀쩡히 부모 있어도 수집에 끌려와
그의 말대로 '어렸을 때부터 눈칫밥만 먹고 자란' 그는 형제복지원에서 몸으로 겪은 경험으로 선감학원에선 직원들이 시키는 대로 했다. 순응해야만 죽지 않는다는 걸 저절로 깨달은 셈이다. 

 

"선감학원은 기강 잡는 직원들이 있어요. 말을 잘 안 듣는 얘들은 걸리면 죽도록 맞는 거예요. 그래도 형제복지원처럼 밤낮 안 가리고 때리진 않았고 규칙이 있었어요. 저는 규칙에 따라 행동했어요. 근데 어느 날 '꼴통' 같이 생겼다는 이유로 맞았어요. 머리채를 잡고 '가만히 있어'라 하는데, 너무 아파서 '아아' 소리를 냈더니 바리캉으로 '꽝' 소리 나게 찍으며 때렸어요. 지금도 맞은 상처 부위는 머리털이 안 나요. 그래도 선감학원은 천국이라 생각했죠. 아무리 때리고 힘들어도 삼시 세끼는 주고 재워주니까."

 

20221121010003720_3.jpg
부랑아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부산 형제복지원 2년, 선감학원 3년 총 5년 동안 인권유린 시설에 갇혔던 하수명(59)씨의 냉장고. 인권유린 시설 입소로 삶이 망가지고, 혼자 살다 보니 그의 냉장고는 갖은 반찬 없이 비어있었다. /김동현기자 kdhit@kyeongin.com

삼시세끼라 해도 원생들이 주식으로 먹던 꽁보리밥과 반찬은 모두 선감학원 일대에서 원생들이 직접 재배해야 했고, 매일 강제노역에 동원됐다.

"삼시 세끼 준다고 좋아했지만, 먹는 음식은 우리가 직접 길러서 먹었어요. 하루 3시간씩 밭일을 했거든요. 김치, 양배추 같은 걸 주로 재배해 먹었어요. 일부 원생들은 소랑 돼지를 기르는 축사에 끌려가 일을 했는데, 정작 고기가 반찬으로 올라온 적은 거의 없었어요. 가끔 대통령 하사품으로 과자와 사탕이 내려와 그때 특별하게 단 걸 먹을 수 있어서 좋았죠." 

 

그는 '자유'를 찾아 선감학원을 탈출했다. 형제복지원보단 낫다고 말하는 그였지만, 폭력과 통제는 같았다. 매일 지옥이 펼쳐지고 있었다. 수명씨는 '사람답게' 살고 싶었다고 말했다.

0ㅇ0ㅇ0.jpg
부랑아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부산 형제복지원 2년, 선감학원 3년 총 5년 동안 인권유린 시설에 갇혔던 하수명(59)씨가 살고 있는 충청남도 아산의 3평 남짓한 원룸. 인권유린 시설을 탈출해 평범한 삶을 꿈꿨지만, 낮아진 자존감과 생활고에 시달리며 가족 없이 홀로 지내고 있다. /김동현기자 kdhit@kyeongin.com

"맞는 게 너무 힘들었어요. 그때 먼저 탈출한 원생이 다시 돌아와 도와줄 테니 같이 나가자 해서 인천으로 나가는 배에 몰래 들어가 탈출했어요. 그런데 (나와 보니) 막상 아는 사람, 도와줄 사람도 없고, 주민등록증도 없고…. 이후의 삶도 지옥이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점점 어둡게만 살아갔죠." 

도와줄 사람·신분증도 없어
이후의 삶도 '지옥이었다'
45년 전 선감도 벗어났지만
마음은 여전히 그때 기억 속에
 

수명씨가 형제복지원과 선감학원에 수용된 이유도 '부랑아' 같아 보여서였다. 정작 그는 부랑아가 아니었다. 멀쩡히 부모가 있었고 집도 유복한 편이었다. 새어머니의 구박에 집을 나와있던 시간이 많았고 그러던 찰나 부산 일대에서 대대적으로 진행된 부랑아 수집에 잡혀들어온 것이다. 

 

그의 몸은 45년 전 선감도를 탈출했지만, 마음은 여전히 그때의 기억에 얽매여 자유를 찾지 못했다. 수명씨는 이유 없이 자신을 가두었고, 인권을 짓밟은 '책임자'들을 처벌하는 것, 그리고 국가가 책임지고 사과하며 피해를 보상하는 것이 생애 마지막 소원이라고 분명하게 말했다. 

보상 받아봐야 얼마나 받겠나요.
책임자들은 꼭 대가를 치르게 해줬으면
그래야 우리의 한이 풀리지 않겠습니까.

"보상을 받아봐야 제가 얼마나 받겠나 라는 생각은 들어요. 그러나 나 말고도 이유 없이 사람들을 잡아간 형제복지원과 선감학원 담당자들, 책임자들은 꼭 대가를 치르게 해줬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우리의 한이 좀 풀리지 않겠습니까."

/특별취재팀

※특별취재팀

정치부 공지영 차장, 신현정·고건 기자, 사회교육부 배재흥·김동한 기자, 디지털콘텐츠팀 김동현 기자


■사람을 찾습니다

▲1956~1982년까지 선감학원에서 일했던 교사 및 직원들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1974~1976년, 선감학원 내 양호실에 근무하며 구타당해 머리를 다친 수명씨를 치료해준 간호사를 찾습니다.


 


▶디지털 스페셜 바로가기 (사진을 클릭하세요!)
디지털선감학원.png


경인일보 포토

특별취재팀

jebo@kyeongin.com

특별취재팀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