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살 나이에 선감학원에 끌려가 10년가량을 강제노역·폭행 등에 시달리다 탈출한 고(故)이대준씨는 선감학원의 참혹한 진실을 세상에 알려왔다. 선감학원 아동피해대책협의회 부회장을 맡으며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졌던 그는 지난 2020년 1월 사망했다. 사진은 대준씨가 생전 자필로 남긴 선감학원의 참상을 고발하는 글과 그의 생전 모습. 2022.11.22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
대준씨는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도 선감학원의 참혹한 진상을 알리는 일을 손에서 놓지 못했다.
그는 암판정을 받은 그해 선감학원 아동피해대책협의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선감도에서 벌어진 국가폭력의 민낯을 고발하는 데 누구보다 앞장섰다.
그는 자신의 치부를 자식에게 드러내는 것조차 꺼리지 않았다. 대준씨의 결의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선감학원 피해 사례가 공론화되던 시점에 아빠가 저한테 해주신 말씀이 있어요. 성인이 됐으니 저도 알아야 되겠구나 라는 생각으로 말씀해 주신 것 같아요. 선감학원에 계실 때 성폭행을 당했다는 이야기였어요. 아무 것도 모르는 어린 아이를 군대보다 더한 곳에 끌고 가 밥도 안 먹이고, 옷도 입히지 않고, 잠도 못자게 한 국가에 화가 나더라고요."
이후 아버지와 함께 선감도를 찾는 일이 잦아졌다. 가족여행을 가는 대신 시간이 나면 선감도 이곳저곳을 돌아다녔다. 현진씨도 아버지와의 동행이 싫지 않았다. 그저 아버지 옆에 있어주고 싶었다.
"아빠가 선감학원 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 선감도에 자주 모셔다 드렸어요. 쉬는 날에 어디가고 싶냐고 물어보면 꼭 선감도에 가고 싶다고 하셨어요. 원생 다수가 헤엄쳐 탈출하다 죽은 곳이 어딘지, 선감도로 들어가는 배를 탔던 선착장이 어디였는지 그때 알게 됐죠."
암판정 받고도 국가폭력 고발 앞장
가족여행 대신 아버지와 선감도 방문
대준씨가 가진 열정과는 반대로 그의 몸은 점점 병들어 갔다. 현진씨는 생전에 아버지가 무엇을 좋아했는지 잘 알지 못했다.
아침에 일을 나갔다가 돌아온 아버지는 주로 TV를 보며 저녁 시간을 보냈다. 술도 그리 좋아하지 않았고, 변변한 취미 하나 없었다. 대준씨는 그런 아버지가 가여웠다.
"아빠의 삶 자체가 슬픈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제대로 된 행복, 빛 한 번 보지 못한 채 살아오셨거든요. 어렸을 땐 부모가 없었고, 세상이 뭔지도 모르던 나이에 선감학원에 끌려갔죠. 그곳을 탈출한 뒤엔 배운 게 없으니 몸이 고생을 했고요. 원했던 삶, 일반적인 삶을 누려보지도 못하고 암이라는 사망 선고를 받은 아빠의 삶이 너무 불행하게 흘러갔다는 생각이 들어 안쓰러워요."
아버지가 선감학원에 끌려가지 않았다면, 정상적인 교육을 받고 기술을 익혀 삶을 살았다면. 그랬다면 아버지가 병들어 돌아가시는 일은 없지 않았을까.
요즘 현진씨는 아버지의 정반대 삶을 그려본다.
"선감학원에서 탈출한 어린 시절의 아버지를 만날 기회가 있다면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어요. 제가 세상에 태어나지 않아도 괜찮으니까 아버지가 살고 싶은 대로 마음껏 삶을 살아보라고요."
생전 자필로 "트라우마…" 글 남겨
"지금이라도 국가·경기도 사죄해야"
선감학원 피해자 대준씨는 2020년 1월15일 고인이 됐다.
그는 병상에 누워서도 선감학원 일을 처리하고자 매일 수십통의 전화를 했다고 한다. 그가 생전 자필로 남긴 글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선감학원 생존자들의 아픈 기억'의 일부를 남긴다.
"선감학원에서 지내다 세상 밖으로 나온 소년들은 숨어 살며 선감도에서 고통받던 기억들을 잊으려고 마셔보지도 못한 술을 조금씩 마시다 술 중독이 되어 한명 한명 세상을 떠나갔습니다. 지금이라도 국가와 경기도는 선감학원 피해 생존자들이나 억울하게 죽어간 소년들에게 진심으로 사죄하길 바랍니다. 많은 피해 생존자들은 나이도 많이 들었고, 병에 걸려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데 언제까지 과거사 과거사 말만 하고들 계십니까. 인생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특별취재팀
※특별취재팀
정치부 공지영 차장, 신현정·고건 기자, 사회교육부 배재흥·김동한 기자, 디지털콘텐츠팀 김동현 기자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 "선감학원 피해자, 제주 4·3센터처럼 치료 필요"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4·끝)] 상처만 주는 '피해자 반쪽 지원'… 국가는 어디 있나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4·끝)] 우울·불안 고통의 나날… 치유 사업은 2020년 사실상 멈춰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3)] "늘 쫓기듯 급히 밥을 드셨죠"… 아버지의 아픈 습관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2)] "이유 없이 사람 잡아간 책임자들은 꼭 대가 치르게 해야"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2)] 형제복지원에서 선감학원으로… 국가의 '끔찍한 돌봄'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1)] 우린 생존만이 숙제였다… 세상에서 가장 슬픈 '동창'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1)] 모진 역랑에 쫓기듯 살아온 삶… "국가폭력 분명히 알려지길"
- [선감학원 특별기획 PART2·(1)] 부랑으로 떠밀린 형제… 고통의 불은 아직 환하다
- 선감학원 희생자 명칭, 피해자로 바뀐다… 경기도의회 입법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