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3001001194500054101.jpg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한탄강 색도 개선 기술을 개발한 공무원을 적극행정 최우수 사례로 선정하는 등 올해 하반기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7명을 선발했다.

도가 한탄강 색도 개선 관련 대책이 부족하다는 지적(7월 25일자 1면 보도=[검붉게 물든 한탄강의 비탄·(上)] 지류는 수십년째 '죽음의 하천')에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과 사업 추진을 약속했는데, 이번 최우수 사례 선정으로 관련 대책과 기술 개발에 힘을 싣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도는 지난 29일 적극행정위원회를 열고 폐기미생물에 색도를 흡착해 제거하는 '한탄강 색도 개선 기술 개발 사업'을 실행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연구부 강동한 환경연구사를 올해 하반기 최고득점을 받은 우수공무원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우수공무원은 공직사회 내 적극행정 문화 확산과 공직자의 적극적인 업무 추진을 독려하기 위해 반기에 한 번씩 도가 선정하고 있다. 부서로부터 추천받은 18건의 적극행정 사례를 대상으로 도민참여심사(도민추천(5점)+온라인 여론조사(15점))와 민간위원이 참여한 적극행정위원회의 심사(80점) 등을 거쳐 고득점 순으로 선발됐으며 최우수 1명, 우수 2명, 장려 4명 등 총 7명이다.

강동한 연구사는 높은 색도로 훼손된 한탄강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색도를 제거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색도 제거 기술은 설치·운전비용이 너무 높아 지자체와 기업의 재정 여건이 감당하기 어려웠으나, 기존 대비 50% 이상의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강 연구사가 개발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앞서 경인일보는 한탄강 유역에 섬유업체들이 밀집해 있지만, 오염물질을 처리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시설과 지원 등이 부족해 높은 색도의 염색폐수가 한탄강의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도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한탄강의 색도 개선을 위해 관계기관간 소통·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과 사업을 지속해서 발굴·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고, 지난 9월 도가 기업인, 전문가 등과 사업 추진 방향 등의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지속해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한편 이외 우수사례로 옥상 방수, 외벽 도장공사 등 공동주택 보수 공사비 직접 계산할 수 있는 '셀프 견적 프로그램' 보급 사업(공동주택과)과 수요응답형버스(DRT) 및 통합교통서비스(Maas) 도입으로 도민의 자유로운 이동권을 보장한다(광역교통정책과), 도내 불법 광고물 수거 및 전화번호 차단 추진(공정특별사법경찰단) 등이 선정됐다.

최병갑 경기도 정책기획관은 "적극행정 우수사례 선정이 경기도청 내 적극행정 분위기를 고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적극행정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