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수원 고색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에 둘째 아들을 보내려던 김민지(33)씨는 최근 어린이집을 알아보고 있다. 입학 지원자가 3명으로 학급편성 기준에 못 미쳐 해당 유치원이 휴원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첫째 아들을 졸업시킨 김씨는 선생님과 교육 과정 등에 만족해 둘째도 되도록 공립유치원에 보내고 싶었지만, 갈 수 있는 곳은 없었다. 집에서 15분 거리인 고현초 병설 유치원도 인원수 미달로 휴원할 예정이며, 가장 가까운 단설 유치원은 집에서 거리가 3㎞나 되지만 통학 차량을 운영하지 않았다.
김씨는 "수원교육지원청에 3월 이후에도 인원이 추가로 들어올 수 있으니 일단 반을 개설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불가능하다는 대답만 돌아왔다"며 "정부는 사교육 하지 마라 공교육이 좋다고 말하지만, 정작 공교육을 받고 싶어도 받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유아 인구 감소로 올해 경기도내 병설유치원 91곳이 휴원 대상에 포함되면서 공교육을 선호하는 학부모들이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유아 인구 감소로 해마다 늘어
2년 연속 땐 폐원 절차 밟기도
18일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올해 병설 유치원 1천68곳 중 현재까지 91곳이 휴원 대상에 포함됐다. 2021년 37곳, 2022년 54곳에 비해 대폭 늘어난 수치다. 이는 유아 인구 감소 때문이다. 도내 유치원 재학생 수는 2020년 16만9천686명, 2021년 16만1천980명, 2022년 15만3천149명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병설 유치원은 입학 지원자 수가 한 학급편성 기준인 5명을 못 넘을 때 휴원 대상이 된다. 대상에 들면 행정예고를 내린 뒤 의견을 수렴 받고 휴원 결정을 내린다. 2년 연속 휴원하게 되면 주변 환경 등을 검토한 뒤 폐원 절차를 밟기도 한다.
학부모들, 부득이 사교육 선택
저출산 환경에 맞는 기준 필요
휴원 통보를 받자 수원 지역 학부모들은 이달 초 휴원 결정을 재고해달라며 민원을 넣기도 했다. 하지만 행정 절차에 따라 인원수가 미달하면 휴원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행정 절차에 따라 예고가 나가고 확정이 되면 (휴원 결정을) 변경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병설 유치원이 줄어들면 공교육이 축소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권정윤 성신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휴원이 이어지면 공립 유아 교육이 위축될 수 있다"며 "통학 차량 운영을 확대하는 등 병설 유치원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저출산 상황에 맞게 학급편성 기준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