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대 전환과 내연기관 차량 생산 중지에 따른 인천 지역 위기 기업 종사자가 6천6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면서 인천시 차원의 정책 대비가 필요하다는 인천연구원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16일 공개한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에 따른 인천시 자동차 부품기업의 현황 및 시사점' 기초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9년 기준 인천시 전통(내연기관) 자동차 제조업체 수는 685곳이고 범자동차 제조 관련 업체는 5천517곳으로 파악됐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이들 업체 가운데 전기차 시장 확대가 긍정적인 배터리, 자율주행, 충전 인프라 관련 업체를 '긍정적 부품군'으로, 엔진이나 변속기 등 사업이 축소할 위험이 있는 업체를 '부정적 부품군'으로 분류해 분석했다.

범자동차 제조업체 중 부정적 부품군에 속하는 업체 비율은 8.3%로 전국 평균 7.3%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연기관 차량의 생산 중지 등에 따른 위기 기업 수는 2019년 기준 전통 자동차 제조업체가 약 160곳, 범자동차 제조업체 수는 458곳으로 분석됐다. 위기 기업 종사자 수는 전통 자동차 제조업체가 3천334명, 범자동차 제조업체가 6천699명으로 추산됐다. 


인천연, 자동차 부품기업 보고서
부정적 부품군 속하는 업체 8.3%
"수도권 친환경차 정책 제언해야"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지역 자동차 부품기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도 진행했다. 부정적 부품군에 속한 업체들은 최근 3년 사이 매출과 영업이익에 대해 "아직 매출 타격이 크진 않다"고 답변했으나, 미래 성장 가능성은 "자동차가 아닌 다른 산업군 진입을 고려할 정도로 나쁘다"고 답했다.

전기차 전환 추세와 관련해서도 부정적 부품군 업체들은 "전환 예산이 부족하다"거나 "먹거리가 막막하다"고 했다. 또 새로운 사업에 대한 교육·정보의 장, 신산업과의 상생을 위한 협력체계 구성·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트랙스와 말리부를 생산한 한국지엠 부평2공장이 지난해 11월 가동을 중단한 것과 관련해, 전기차 생산공장으로의 전환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연구진은 전기차 부품 관련 지역 정책에서 인천이 수도권이라는 지리적 이유로 배제됐다며 인천시를 포함한 수도권 친환경차 정책 수립을 정부에 제언해야 한다고 했다.

인천연구원 민규량 경제환경연구부 연구위원은 "기존 부품산업 기업에 대한 실태 조사와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며 "산학연 협력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초기 투자 비용이 큰 시험 기기를 공용화하는 등 전기차 전환 대비를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