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인천항 남항 일대에 민간 주도의 65층짜리 주거·업무·문화시설 건립을 검토한다. 현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동북아트레이드타워와 비슷한 규모의 랜드마크를 짓겠다는 내용인데 민간개발로 남항은 물론 인근 내항을 중심으로 한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6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시는 최근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인천 중구 항동7가 108 일원에 주거·업무·문화생활이 가능한 고층 복합시설을 짓는 '인천 항동7가 복합개발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복합개발사업 대상지는 연면적 8만8천115㎡로, SK에너지 유류저장·송유시설로 운영됐던 곳이다.
해당 부지를 매입한 민간사업자는 인천시가 운용하는 '공공기여 사전협상제도'(이하 공공기여제)를 적용해 지하 3층, 지상 65층 규모로 건물을 건립하는 내용을 인천시와 협의 중이다. 단, 이 같은 계획은 공공기여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후 일부 변경될 수도 있다.
공공기여제는 민간이 사업을 추진하도록 도시계획 변경 등을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대신, 개발이익 일부를 환수해 공공시설 조성에 쓰는 것이다. 복합개발사업이 추진되려면 현재 대상지에 지정된 도시계획시설 폐지, 50m로 정해진 높이 제한 완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
민간사업자는 복합개발사업 예상 개발 이익 일부를 공원·체육시설·커뮤니티센터 건립, 어시장 정비사업 지원, 최상층 공공 개방, 환경개선사업 등 공공시설 조성에 투입하는 방안을 인천시에 제시했다.
민간사업자 주거·업무·문화 '복합개발사업' 제안… 市, 검토
구도심 활성화 마중물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 시너지효과
남항에 복합개발사업이 이뤄지면 주변 쇠퇴한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마중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남항은 항만 기능이 줄어들면서 항만물류를 담당하는 창고, 공장이 신항, 북항, 평택항 등으로 이전하는 등 산업 기반 쇠퇴에 따른 인구 감소가 이뤄지는 지역이다.
남항은 연안항 국제여객터미널 이전 후 연안 부두 확장, 석탄부두 이전 등 여러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상당수 지지부진한 상태에 놓여있다. 민간 주도로 빠르게 복합개발사업이 추진됐을 때 긍정적인 연계 효과가 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남항과 인접한 내항 중심으로 추진되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고층 건물 개발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과 주민 수용성, 경관 적정성, 민간사업자 재원 조달 능력 등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건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남항은 석탄·시멘트·모래 등을 주요 화물로 취급하는 항만시설로 주거시설이 들어서기에는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다. 인근에 있는 아파트 주민들은 화물차로 인한 교통 혼잡, 소음, 분진으로 인한 환경관련 민원을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안내영 인천연구원 도시공간연구부 연구위원은 "남항은 변화가 필요한 지역으로 민간 개발 투자는 환영할 부분"이라면서도 "공공 도시계획 측면에서 주거지역 적정성과 경관 영향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상업·업무시설이 지속해서 운영되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 등 앵커시설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인천시는 민간사업자로부터 복합개발사업과 관련한 제안서를 접수하면 개발 계획 방향 등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민간이 제안한 사업 규모와 공공기여 등이 적정한지 검토해야 한다"며 "추후 절차가 이뤄지면 중구, 주민 의견 등도 중요하게 수렴할 것"이라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