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제조업체들이 국내외 탄소중립 정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대로 준비하고 있지 않아 지자체 차원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인천연구원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26일 발표한 '인천시 제조업 온실가스 배출 특성 및 탄소중립 대응 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9년 기준 인천 제조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1천83만6천t으로 2010년까지 상승하다가 이후 주춤하는 추세다.
인천 제조업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 가운데 업종별 비중은 2020년 기준 석유 정제품 제조업이 31.1%로 가장 많고, 1차 철강 제조업 19.5%,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9.7%, 나무제품 제조업 4.7%,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3.7%, 반도체 제조업 2.6% 순으로 나타났다.
1990~2019년 인천 제조업의 업종별 배출량 추이를 보면 화학, 조립금속, 철강 부문에서 빠르게 배출량이 늘었고, 비철금속, 비금속, 나무·목재, 섬유·가죽 부문에선 줄었다. 인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산업 부문은 23.5%를 차지한다.
EU(유럽연합)는 수출 국가에 대해 이른바 '탄소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은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운동)에 동참하는 추세다.
65.1% "들어봤지만 잘 모른다"
자사 대응방안 81.4% "갸우뚱"
그런데 인천연구원 연구진이 지역 제조업체 31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탄소중립 의미와 이해에 대해 65.1%가 '들어봤지만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 '모른다'는 응답은 14.3%이며, '알고 있다'는 20.6%에 불과했다. 국가 탄소중립 정책과 관련한 자사 대응 방안을 물었을 땐 81.4%가 '모른다'고 답했다. 탄소중립 정책 대응 계획 여부에 대한 질문엔 '지금도 없고 계획도 없다'는 답변이 58.8%로 가장 많았다.
인천연구원은 지역 제조업체들이 탄소중립으로 인한 영향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낮고, 아직 대응 계획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탄소세가 부과될 EU 대상 수출업체나 RE100 선언 대기업의 협력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탄소중립 이해가 낮다고 인천연구원은 설명했다.
'미치는 영향' 교육·홍보 필요
"지자체, 중앙과 지원책 마련을"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탄소중립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우선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각 기업에 앞으로 탄소중립으로 인해 시장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뀔 수 있다는 신호를 분명하게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시를 비롯한 지자체들이 제조업체의 탄소중립 대응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연구원 한준 연구위원은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 내 EU 대상 수출업체나 국내 RE100 선언 대기업 협력사의 현황을 우선 파악해야 한다"며 "지자체가 중앙부처와 협력해 이들 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