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창영초등학교 이전 계획이 교육부 심사에서 제동이 걸렸다.
31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전날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는 인천 동구 인천창영초 이전 방안을 재검토하라며 해당 안건을 부결했다.
인천시교육청은 비상이 걸렸다. 인천창영초 인근에 있는 금송재개발정비사업구역과 전도관구역은 오는 2026년부터 5천670가구의 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이들 구역 초등학생을 모두 수용하려면 36개 학급 규모의 학교가 필요한데, 인천창영초는 현재 최대 20학급만 편성할 수 있다. 인천창영초는 증축이 어렵다. 학교 부지 안에 문화재로 지정된 인천 최초 공립초등학교 옛 교사(校舍)가 있기 때문이다.
재개발지역 입주땐 과밀학급 우려
유정복 시장 "반대" 결정 영향 추측
시민단체 "공론화 필요" 환영 논평
인천시교육청 "4월 신설 통과해야"
향후 금송구역과 전도관구역 학생들이 인천창영초로 전학을 오면 학급당 학생 수는 최대 49명까지 늘어난다. 이 때문에 인천창영초 학부모들은 과밀학급 등 학습권 침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왔다.
인천시교육청은 지난해 학부모 등 지역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3차례 공청회를 열어 인천창영초를 인근 금송구역에 옮기는 계획을 수립했다. 또 인천창영초 건물을 활용해 여자중학교를 설립할 방침이었다. 인천 동구에 여학생이 다닐 수 있는 중학교는 남녀공학인 화도진중학교가 유일하다. 동구의 많은 여학생이 중구와 미추홀구로 멀리 통학하고 있다.
최근 시민단체와 유정복 인천시장이 잇따라 학교 이전에 반대하는 의견을 낸 것(1월30일자 6면 보도)이 이번 심사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인천창영초 이전을 요구해온 학부모 등은 보고 있다.
최정은 인천창영초 운영위원장은 "학부모들은 아이들이 좋은 환경에서 교육받는 것만 바라고 있다"며 "공청회 과정에선 조용히 있다가 뒤늦게 반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인천창영초 이전에 힘을 실어온 허종식(인천 동구·미추홀구갑) 국회의원은 이날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재개발 구역 입주 시기를 고려하면 금송구역 내에는 반드시 (초등)학교가 신설돼야 한다"며 "인천지역 사회가 구도심 교육환경 개선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함께 머리를 맞대 나가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인천창영초 이전에 반대하는 '인천창영학교 이전사태를 우려하는 시민모임'은 이날 교육부의 결정을 환영하는 논평을 냈다. 이 단체는 "인천시교육청이 인천 최초 공립학교인 창영초 이전의 중요성에 비해 충분한 공론화를 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며 "이번 심사 결과를 잘 새겨 지역사회와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금송구역과 전도관구역 입주 시기를 고려하면 올 4월에는 이 지역 초등학교 신설 계획이 반드시 교육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해야 한다"며 "내부 논의를 거쳐 추가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