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제조업체들의 국내외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기대 이하로 나타났다. 인천연구원이 지난달 26일 발표한 '인천시 제조업 온실가스 배출 특성 및 탄소중립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인천 제조업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세가 주춤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탄소중립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으며 대응계획 준비도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제조업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탄소중립 의미와 이해에 대해 65.1%가 '들어봤지만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 '모른다'는 응답은 14.3%로 79.4%가 모르거나 잘 모르는 실정이다. 또 국가 탄소중립 정책과 관련한 자사의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81.4%가 '모른다'고 답했으며, 탄소중립 정책 대응계획 여부에 대한 질문엔 '지금도 없고 계획도 없다'는 답변이 58.8%로 가장 많았다.

EU(유럽연합)는 수출 국가에 대해 이른바 '탄소세' 부과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은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운동)에 동참하는 추세이다. 인천시도 2045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준비해왔다. 해상풍력 발전과 도시철도 확대 등을 통한 수송부문, 화력발전소 폐쇄 등이 그것이다. 실제로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인천시민들의 이해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며 시민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기존의 탄소 포인트 제도를 능가하는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제조업 부문이다. 탄소중립은 제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흐름으로 시장의 세계적 지각변동이 예상되는 시점임에도 탄소세가 부과될 EU 대상 수출업체나 RE100 선언 대기업의 협력사들도 탄소중립 이해도나 대응계획 준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자체 차원에서는 탄소중립 이행 계획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천시의 강력한 정책 추진 의지를 다시 천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 중소기업 대상으로 인천시의 탄소중립 정책과 탄소중립이 향후 제조업에 미치는 환경 변동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 또 지역 내 EU 대상 수출업체나 국내 RE100 선언 대기업 협력사 현황과 기업체별 탄소중립 관련 대응 실태를 토대로 제조업 분야의 대책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