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가장 넓은 인천시 '준공업지역'을 도시 전체 공간 구조 개편 전략에 맞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인천연구원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도시관리계획 용도지역 분류 중 하나인 준공업지역은 국토계획법에서 '경공업과 그 밖의 공업을 수용하되 주거·상업 기능 및 업무 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으로 규정한다.
면적 28㎢… 서울·경기도보다 커
도시에 공업·주거기능 혼재 요인
인천연구원이 9일 공개한 기획연구과제 '인천시 준공업지역 토지이용 실태와 관리 방안' 보고서를 보면 인천시 준공업지역은 2021년 4월 기준 약 28㎢로, 미추홀구 전체 면적 24.84㎢보다 넓다. 인천시 준공업지역은 서울시 준공업지역(20㎢)과 경기도 준공업지역(21㎢)보다도 넓다.
왜 인천은 수도권에서 준공업지역이 가장 많을까. 공업지역과 시가지 분리가 수월한 경기도와 달리, 인천시는 도시지역에 국가산업단지(용도지역상 일반공업지역) 등 공업 기능이 들어서 있다. 일반공업지역에 인접한 부지로 시가지와 분리하기 위해 공업과 주거 등 다른 용도가 섞인 준공업지역이 널리 지정된 요인이다.
또 인천은 항만 배후 부지, 송도국제도시 등 경제자유구역 내 첨단산업단지, 부평농장·청천농장 등 자연 발생한 단독산업단지 등 지역 특성으로 준공업지역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 표 참조

인천연구원 연구진이 분류한 유형별 준공업지역 가운데 노후화한 '단독산단', 공업 외 주거 등 다른 용도가 많이 뒤섞인 '일반공업지역 인접 부지', 인천 내항과 남항 배후단지 등이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됐다. 일반공업지역 인접 부지는 인천기계산단, 주안산단, 부평산단과 인접한 준공업지역, 용현·학익지구 개발 후 남은 준공업지역 등이 있다.
준공업지역에서 도시개발사업 등이 추진돼 주거지화된 지역의 용도지역이 주거지역으로 변경되고, 이와 관련해 항만과 새로 조성된 산단으로 준공업지역이 대체 지정된 사례도 꾸준히 이어졌다. 미추홀구 용현·학익지구, 남동구 소래·논현지구, 계양구 효성동·작전동 일원, 부평구 청천동·산곡동 일원, 서구 가좌동 일원 등이 대표적이다.
제물포르네상스·경인고속道사업 등
상당부분 포함… 연계 정비 효율적
기능 다양 복합용도구역 활용 가능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주거지로 변한 준공업지역이 주거지역으로 용도 변경되면서, 주변의 나머지 준공업지역의 '주거·공업 용도 뒤섞임'을 심화시켰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인천시가 준공업지역을 유형에 따라 물리적 환경 정비 또는 용도·기능 관리를 추진해야 하며, 개별 사안으로 산발적 해제·지정을 추진하기보다는 도시 전체 공간 구조 개편 전략에 맞춰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주거와 공업 기능이 뒤섞인 구역에 대해 준공업지역 해제가 아니라 구역 내 용도를 구분하고 기반·지원시설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재정비해야 한다고 했다. 구도심 준공업지역은 정비가 어렵다.
인천시가 추진하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지하화, 경인전철 지하화 등 중점 사업이 준공업지역을 상당 부분 포함하므로 이들 사업과 연계한 관리·정비가 효율적이라는 게 연구진 의견이다.
인천연구원 안내영 연구위원은 "준공업지역은 공업 기능뿐 아니라 다른 용도를 수용하는 성격을 갖고 있어 다양한 유형의 토지 이용이 나타난다"며 "이를 관리하지 않으면 여러 용도가 혼합된 혼재구역일 뿐이지만, 잘 관리하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용도구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