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서해 5도와 한강하구 등 북한 접경지대에 있는 지역 특성을 '남북 평화자산'으로 활용하려면 관련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수집·관리해야 한다는 인천연구원 정책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21일 공개한 정책연구과제 '(가칭)서해평화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 보고서에서 인천시가 전쟁, 분단, 남북 갈등 상황을 연계한 평화자산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정보를 집약한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서해 5도와 한강하구 등의 평화자산은 인천과 접경한 북한 황해도 등 지역 간 역사적·문화적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는 근거 자료라는 게 인천연구원 연구진 설명이다. 인천과 황해도에 걸친 고인돌 문화유산부터 전쟁 유적, 공유 설화·민속, 남북을 오가는 철새·물범, 인천시 남북 협력사업 등을 평화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역사·문화적 남북 연관성 '확인'
청소년 통일공감대·쌍방향 소통


연구진은 시민과 청소년이 평화·통일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역에 있는 평화자산을 디지털화하거나 온라인 플랫폼으로 구축해 정보 접근성을 향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은 평화·안보를 상징하는 자산이 많지만, 하나의 플랫폼으로 보존·관리되지 않아 자산이 갖는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연구원은 평화자산을 지역(지리·지형), 자연·생태환경, 인문·사회·역사·문화, 평화(군사·전적) 등으로 분류해 수집·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관련 문헌과 사료, 사진, 영상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야 한다.

연구진은 관련 자료의 수집·생산은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시민도 참여하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이용자와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인천 평화자산 플랫폼 내 콘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해 이용자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통일부가 비무장지대(DMZ)의 시대별·공간별 정보를 담아 제작한 웹 지도 'DMZ 평화지도'가 좋은 사례다. DMZ 평화지도는 이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별해 시각화할 수 있다.

디지털화 정보 접근성 향상 필요
통일부 'DMZ 지도' 선례로 꼽아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평화자산 플랫폼 구축으로 남북 평화 관련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하고, 인천의 평화가 곧 한반도 평화로 연결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남북 관계 악화로 인해 한반도 안보 상황이 한층 불안해진 가운데 평화의 필요성을 키우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게 인천연구원 설명이다.

남근우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연구위원은 "인천 평화자산을 대상으로 한 현황 파악과 시민 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남북 관계 변화와 관계없이 서해평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며 "인천시가 중기적 차원에서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