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001000789000037091.jpg
20일 오후 경기도청 1층 대강당에서 열린 경바시, 생성형 인공지능 혁신포럼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비롯해 각종 정부 부처와 지자체들이 도입에 열을 올리고 있는 챗GPT(3월 8일자 1면 보도=[뉴스분석] 정부·지자체, 앞다퉈 '챗GPT' 도입 추진)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전국 최초로 경기도에서 논의됐다.

도정·민원에 접목하기 위해 추진되는 경기GPT를 뒷받침할 '기회론'과 떨어지는 신뢰성 등을 이유로 제기된 '신중론'이 팽팽히 대치한 가운데 김 지사는 GPT 창작단 등의 AI 사업 구상을 제시하며 추진 의지를 내비쳤다.

국내 첫 관련 행사… 높은 관심
"도구로 사용하면 인간과 공존"
"환각 부작용 확실한 해법 없어"

도는 20일 경기도청 대강당에서 'GPT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챗GPT 관련 지자체 주최 포럼이 국내 최초인 만큼, 이날 대강당은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378석의 객석이 가득 찼고 유튜브 생중계도 평균 500명 이상이 시청하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

기조연설에 나선 과학철학자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 석좌교수는 챗GPT를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라 표현하며 업무와 산업 등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강조했다.

장 교수는 "챗GPT의 시대는 생성형 AI가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콘텐츠의 생성, 변형, 정리, 응용 등을 도와주는 시대라고 명명할 수 있다. 즉 AI를 '도구'로 사용하는 방안으로 흘러간다면 인간과 AI가 공존 가능하다"며 "기존 챗봇과 달리 다양한 대화 주제와 흐름도 이해하고 답변 가능하다. 이 같은 생산성은 정보 검색, 단순 업무 처리, 언어 학습 등 엄청난 잠재력으로 산업과 일자리들을 새로 탄생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데이터가 부족함에도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AI가 얘기를 지어내는 '할루시네이션(환각)' 부작용에 대한 뚜렷한 해법이 없는 한 활용 확장은 성급하다는 신중론도 제기됐다. 특히 챗GPT는 '미완' 상태라 지적하며 관련 규제나 제도의 정착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3032001000789000037092.jpg
20일 오후 경기도청 1층 대강당에서 열린 경바시, 생성형 인공지능 혁신포럼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경기도 제공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는 "미국 한 기업의 연구에 의하면 챗GPT 답변의 15~20%는 환각에 의한 잘못된 답변이라고 한다. 사실 챗GPT는 지난 2020년 관련 논문이 공개됐을 때부터, 개발사가 AI 환각 문제가 가장 크다고 언급했을 정도로 불확실하다"며 "AI 관련 학계도 관련 개발과 서비스 배포가 너무나 빠르다는 의견이 나온다. 배아복제 등의 유전자 조작에 대한 윤리적 문제들이 규제를 받았던 것처럼 AI도 정부의 컨트롤, 합의, 제어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역설했다.

앞서 경인일보는 챗GPT가 정확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행정 도입을 위해선 부작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는데, 이날 포럼에서도 문제 제기된 셈이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GPT 창작단을 5월에 시범 사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을 통해 장애인 예술인을 활용한 방안부터 (추진하고), 미래산업펀드를 조성해 GPT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산학연을 론칭하는 등 경기도가 (챗GPT 관련) 이 길을 선도적으로 이끌고 싶다"고 강조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