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 조정에 발맞춰 '2050 인천시 탄소중립 전략'을 수정한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수립한 2050 인천시 탄소중립 전략을 최근 정부가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률을 조정한 기본계획안에 따라 수정한다.
산업분야 가스감축 목표치 낮으면
'업계 어려움 줄어들 기대감' 관측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와 관계 부처는 지난 2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하고 '산업'과 '에너지 전환' 등 일부 분야의 2018년 대비 2030년 온실가스 목표치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정했다.
산업분야 총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는 14.5%(2018년 대비 2030년 감축 비율)에서 11.4%로 하향 조정됐다. 한국산업 구조상 14.5%라는 목표치는 실현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부 계획에 맞춰 인천시의 산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가 낮아지면, 인천 산업계의 어려움이 다소 해소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천은 산업단지 등 공장밀집지역에 탄소 직접·간접 배출량이 많은 석유 정제품 제조, 금속, 철강산업이 집중돼 있어,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들은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
제조업체 상당수 정책 이해도 낮아
인천연구원이 올해 1월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인천지역 제조업체 상당수가 탄소중립 정책을 잘 모른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업체의 60% 가까이가 '탄소중립 정책 대응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인천시가 지난해 수립한 2050 탄소중립 전략에는 산업과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큰 폭으로 줄이는 내용이 담겼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부 정책에 따라 감축 비율 조정 등이 이뤄지더라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부 사업 등은 지속해서 이어나갈 것"이라며 "탄소중립 전략을 수정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하고 공청회를 열어 시민사회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다.
정부가 내놓은 기본계획에서 석탄 등 에너지 전환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는 44.4%에서 45.9%로 상향 조정됐다. 석탄발전을 감축하고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영흥화력발전소 등 관련 에너지 산업이 종료되는 지역을 '정의로운 전환 특별지구' 등으로 지정하는 정책과제도 기본계획에 포함했다.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원활치 않아 기준치 달성 미지수
하지만 인천지역에서 추진되는 해상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주민 수용성 문제'로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게다가 인천시는 지난해 12월 송도국제도시에서 열린 저탄소 국제도시 포럼에서 국가 목표보다 5년 앞당긴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천지역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2018년 기준 6천624만3천t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로, 이 중 영흥화력발전소와 서인천복합화력 등 에너지 발전시설 비율이 약 80%(5천131만9t)를 차지한다. 다음은 간접배출량(1천464만2천t), 산업공정(41만1천t), 농업(17만5천t) 등 순이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