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송도유원지, 인천 내항, 강화도 남단 등지로 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려는 계획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인천시의회 시정질문에서 나왔다.
인천시의회 유승분(국·연수구3) 의원은 지난 24일 시정질문에서 "현재 계획되고 있는 여의도 면적(2.9㎢)의 14배에 달하는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이 과연 경제자유구역이 가진 본질적 목적인 외국인 투자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을지 의구심이 있다"고 지적했다.
유승분 "대내외 여건 변화에 역행"
유정복 "투자용지 부족, 재편 필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올해 상반기부터 내년 하반기까지 인천 내항(3.01㎢), 강화도 남단(18.92㎢), 수도권매립지(16.85㎢), 송도유원지(2.67㎢) 등 41.45㎢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받기 위한 개발계획 수립 용역을 각각 진행할 예정이다.
송도·청라·영종 등 기존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부족한 투자유치 용지 문제를 해소하고, 인천시 핵심사업인 '제물포 르네상스'와 '뉴홍콩시티' 프로젝트를 원활히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유승분 의원은 "현재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저성장과 인구 감소 등 여건 변화는 물론이고, 부동산 시장 하락 국면 등을 고려한다면 경제자유구역 확대는 오히려 대내외적 여건 변화에 역행하는 선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이어 "특히 송도유원지 일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면 테마파크 조성과 주변 지역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미칠 파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은 바이오헬스, 스마트 제조, 항공 물류 등 전략 산업 유치를 추진 중이고, 앞으로 관광·레저산업, AI(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새로운 산업을 집중적으로 유치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현재 투자유치 용지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추가 용지를 확보해 산업 생태계를 현실에 맞게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유정복 시장은 "송도유원지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과 기존 테마파크 조성·도시개발이 상충하지 않도록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기존 사업 진행 상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과감한 투자유치가 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대영 "전세사기 실태조사 늦어"
나상길, 인천이음 '시들' 대책 요구
이날 김대영(민·비례) 의원은 미추홀구에서 집단으로 일어난 전세사기 사건에 대해 "인천시의 실태 조사가 늦은 감이 있다"며 "유정복 시장이 피해자들을 더 만나서 필요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챙겨야 한다"고 했다.
박용철(국·강화군) 의원은 "강화섬쌀의 소비를 늘리고 시민이 고품질의 강화섬쌀을 먹을 수 있도록 강화군 자체 사업인 '외식업소 강화섬쌀 공급차액 보조사업'을 인천시 차원의 사업으로 확대해 추진해달라"고 건의했다.
나상길(민·부평구4) 의원은 '인천이음'(인천사랑상품권) 카드 결제액과 사용자 수가 점차 줄고 있는 상황에 대한 대책을 물었다.
유정복 시장은 "(기본 캐시백 혜택에서 추가로) 상생캐시백 혜택을 확대하고, 사업자카드를 통한 역내 거래를 활성화하겠다"며 "농수산물 장터 등 지역 축제와 연계한 한시적 캐시백 상향 지급을 통해 지속가능한 선순환 지역경제를 창출하겠다"고 답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