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구도심 역세권 살리기에 나선다. 구도심 역세권 각각의 상황을 진단해 활성화 방안을 찾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시는 내년 6월까지 '인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경인선(경인전철)과 인천도시철도 1·2호선, 서울지하철 7호선, 수인선 등 구도심 역세권 67곳(45.43㎢)이 대상이다. 인천시는 구도심 범위에서 경제자유구역과 섬 지역 등은 제외했다.
인천시는 오는 6월부터 용역을 시작해 구도심 역의 현황을 분석하고, 보완점을 찾을 예정이다. 재생·재개발·재건축 등 기존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새로 모색하겠다는 게 인천시 구상이다. 인천시는 구도심 역세권 특성에 따라 도시관리계획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거나 거점 사업을 발굴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
인천시는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시범사업지구도 선정한다. 구도심 역세권 중에서도 3곳을 정해 중점적으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시범사업지구로 선정된 역세권에 대해 전면·부분개발, 공공·민간개발 등 사업방식을 정한 후 구체적인 사업 구상을 그려나가기로 했다.
市, 내년 6월까지 활성화 방안 수립
경인선·인천철·7호선 등 67곳 대상
"공공성 확보·균형 맞추기 중요해"
최도수 인천시 도시균형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역세권 특성에 맞는 개발 방식을 저희가 찾아보고, 시범 지역을 3곳 정도 선정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보려고 한다"며 "용역 한 번으로 64개 역세권이 일시에 다 잘 되긴 어렵다. 시범사업지구 통해 테스트베드 차원으로 진행하면서 확대해가겠다"고 말했다.
구도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얽혀있는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와 사업성 확보 등은 과제가 될 전망이다. 신도시와 구도심 간 균형을 이룬 발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 20여 년 전부터 구도심 역세권 곳곳에서는 개발이 추진(3월13일자 1면 보도)돼왔다.
그러나 개발 방식·주체에 대한 이견과 부동산 경기침체, 사업성 부족 등으로 사업이 좌초·지연된 경우가 많았다.
인천연구원 안내영 연구위원은 "인천 구도심 역세권은 개발여건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다. 개발 타당성이 있는지 없는지, 수지타산에 맞는지에 대한 여부가 문제가 되기도 한다"며 "그러다 보니 용적률을 높여주거나 고밀 개발 등 규제 완화 방향으로 가는데, 그만큼 공공성을 확보하면서 균형을 잘 맞추는 게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기존에 개발이 추진된 곳들은 이해관계자도 많을뿐더러 개발 여지가 없을 수도 있다. 구도심 역세권 활성화가 쉽지 않다는 걸 저희도 알고 있다"며 "사업 구상만 그리고 끝나지 않도록 타 지역과 해외사례, 기존에 연구했던 자료들을 꼼꼼히 살펴보면서 과제를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