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청 입지 후보지가 인천과 서울로 압축돼 조만간 결정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범시민적 유치 열기가 뜨거운 인천지역사회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2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재외동포청 출범 상황을 점검한 국민의힘과 정부 간 당정협의에서 동포청 소재지로 당은 인천시를, 외교부는 서울시를 각각 주장했다고 전해졌다.
앞서 지난달 2일 외교부 고위 당국자가 재외동포청 소재지에 대해 "서울이 적절하다"고 발언해 동포청 유치를 추진하는 다른 지역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정가 안팎에선 외교부 직원들이 서울 입지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대통령실과 정부종합청사, 국회가 있는 수도 서울에서 재외동포청을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서울시나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사실상 없다. 반면 인천시는 전통시장까지도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기원한다'는 현수막을 내걸 정도로 시민들의 열기가 뜨겁다. 지난달 초부터 '재외동포청 인천유치 시민운동본부'가 활동하고 있다.
재외동포청은 한국이 730만명 규모 재외동포들을 위해 처음 설립하는 행정기관인 만큼, 그 의미를 뒷받침할 역사적 명분도 인천을 따라올 지역이 없다. 인천은 1902년 12월 우리나라 최초 공식 이민자들이 제물포(인천항)에서 하와이로 이민을 떠난 지역으로, '떠나보낸 곳에서 동포를 다시 맞는다'는 역사적 의의가 크다.
인천시는 지난해 7월부터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먼저 재외동포청 유치 의사를 밝혔으며 재외동포 네트워크 구축, 재외동포청을 연계한 글로벌 도시 조성(뉴홍콩시티 프로젝트) 등을 추진해왔다.
인천 지역사회가 철저하게 준비한 재외동포청 유치가 무산될 경우,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인천 지역사회는 2014년 송도국제도시에 본청이 있는 해양경찰의 '해체'와 국민안전처 산하로 격하된 해양경비안전본부의 2016년 '세종시 이전'으로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거세게 반발한 적이 있다.
인천은 국가 차원에서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영흥도 석탄화력발전소' '공장(국가산업단지)' 이미지만 심어지고, 정부와 정치권이 정작 지역사회 염원은 외면한다는 비난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인천시 관계자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재외동포 사회의 지지와 인천 지역사회의 바람을 담아 재외동포청 유치에 끝까지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범시민적 염원 '인천' vs 외교부 직원 희망 '서울'
재외동포청 입지 후보 '압축'
입력 2023-04-12 20:2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4-13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