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서 다수 불법진료… 새갈등 우려

입력 2023-06-07 20:42 수정 2023-06-07 21:25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6-08 2면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간호협회 서울연수원에서 열린 '간호법 준법투쟁 2차 진행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최훈화 대한간호협회 정책전문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2023.6.7 /연합뉴스
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간호협회 서울연수원에서 열린 '간호법 준법투쟁 2차 진행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최훈화 대한간호협회 정책전문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2023.6.7 /연합뉴스
 

간호사의 준법투쟁에 따른 의료대란은 없었지만 일부 의료현장의 불법사항이 간호협회를 통해 확인되고 고발이 예정됨에 따라, 새로운 직역 간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들이 파악한 '불법진료' 병원은 경기도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지도 주목된다.

대한간호협회가 7일 간호법 준법투쟁 2차 진행결과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법진료 신고센터에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5일까지 무려 1만4천23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대한간호협회, 준법투쟁 2차 결과 발표
검사 9075건 '최다'… 고발 계획


신고 의료기관이 가장 많은 지역은 수도권이었다. 서울이 의료기관 수는 64곳·신고 건수는 2천402건이었고 경기도는 경기 52곳·1천614건으로 뒤를 이었다. 인천도 18곳·452건의 신고가 있었다.



유형별로 보면 검사 관련 신고가 9천75건으로 가장 많았고, 처방·기록 8천66건, 튜브 관리 3천256건, 치료·처치 및 검사 2천695건, 대리수술을 포함한 수술 관련 1천954건, 약물관리 593건 순이었다.

간호사들이 불법인 줄 알면서도 불법진료를 한 이유로는 '병원 규정과 관행, 당연한 문화, 업무상 위계, 환자를 위해서'가 36.1%로 가장 많았고, 할 사람이 본인뿐이라는 응답은 25.6%였다.

특히 준법투쟁으로 불이익을 당한 간호사도 부당해고는 4명, 사직 권고는 13명, 간호업무 외 추가업무 배정 55명, 부당한 근무표 배정 30명 등 모두 351명으로 집계됐다고 간호협회는 설명했다.

이런 불이익 두려움으로 준법투쟁에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간호협회는 불법진료 근절을 위해 법정의료인력기준 위반에 대한 의료기관 조사 및 보건의료인력 업무체계 명확화를 위한 즉각적인 제도개선 등을 요구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불법진료 신고센터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불법 기관과 의사를 수사기관에 고발하고, 준법투쟁을 하는 간호사에게 불이익이나 위해를 가한 의료기관을 신고한다는 계획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김태성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