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용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청 전경. /경인일보 DB

 

인천지역의 미래를 전망하고 인구·환경·노동·문화 등 각 분야 대응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인천시 미래준비특별위원회'가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인천시는 지난 1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천광역시 미래준비특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래준비특별위원회는 미래 주요 이슈를 발굴하고 정책 제언 등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역할을 맡는다.

미래준비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유정복 인천시장이 맡게 됐다. 위원은 분야별 전문가와 인천시, 인천연구원,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공무원 총 31명으로 조직됐다.  

 

운영 시기는 내년 6월까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미래준비특별위원회는 첫 회의에서 인천의 도시 변화 과정을 진단하고,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맞춤형 대응책을 논의했다.

인천시 미래준비특위 첫회의
기후·일자리·산업 등도 다뤄


인천시는 저출산이 지역 생산력, 도시 경쟁력을 좌우하는 가장 큰 문제라고 판단해 이 같은 안건을 첫 회의에서 다루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인천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전년 2021년(0.78명)보다 더 줄었다. 전국 평균 합계출산율인 0.78명보다 더 낮은 수치다.

미래준비특별위원회는 인구 위기뿐만 아니라 기후·환경, 일자리, 산업, 디지털 기술 전환, 보건,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미래 환경 변화를 분석해 인천시 특성이 잘 반영된 미래 대응 전략을 다각도로 찾겠다"며 "인천의 과거, 현재를 기반으로 도시 미래 어젠다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