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규모(GRDP·지역내총생산)와 지역 전체 소득(지역소득)은 특별·광역시 가운데 중상위권이지만 개인 소득은 하위권인 인천의 경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선 새로운 미래산업 육성과 고용의 질 개선 등 복합적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함께하는인천사람들 김하운(전 한국은행 인천본부장) 이사장은 19일 인천시와 인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인천 경제발전 시민 대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서 인천의 경제 현실을 분석했다.
김하운 이사장에 따르면 인천의 GRDP는 2021년 기준 97조9천억원으로 전국 8개 특별·광역시 중 3번째로 높다. GRDP는 한 지역이 얼마나 경제적으로 잘 사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역 경제 지표로 꼽힌다.
인천 GRDP에 인천사람이 다른 지역에서 벌어온 소득은 더하고, 다른 지역 사람이 인천에서 벌어간 소득을 제외한 '지역총소득'을 비롯해 총처분가능소득 등 '지역 소득' 지표도 중상위(특별·광역시 3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지표는 개인뿐만 아니라 법인과 정부 등 경제 주체 전체를 기준으로 한다.
GRDP, 특·광역시중 상위 세번째
개인 소득 '7위'·민간 소비 '꼴찌'
미래산업 육성·고용의 질 개선을
하지만 인천의 민생경제 잣대라고 할 수 있는 1인당 소득 지표를 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인천의 1인당 개인 소득(개인 총처분가능소득)은 2021년 기준 2천131만7천원으로 8개 특별·광역시 중 7위다. 민간 소비는 1천717만원으로 꼴찌(8위)다.
도시 전체로 보면 비교적 괜찮은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데, 시민들의 개인적 경제 환경은 열악하다는 것이다. 지역 소득에서 차지하는 개인의 비중이 그만큼 작다는 걸 의미한다.
김 이사장은 "고부가가치 미래산업을 육성해 인천의 GRDP 규모를 획기적으로 키울 필요가 있다"며 "고용의 질 등을 개선하려는 노력도 기울여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임금 수준이 함께 올라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그렇게 해야 지역경제의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김 이사장은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 효율화, 소상공인 지원 확대 및 사회적 금융 지원 강화, 비경제활동인구의 경제활동 참가 지원 등의 정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엔 유정복 인천시장과 박호군 인천연구원장을 비롯해 소상공인·기업인단체, 금융기관, 학계, 청년·시민·경제단체, 공공기관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인천시는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론회·간담회 등을 지속해서 개최할 방침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심도 있게 검토해 정책에 반영하겠다"며 "인천 GRDP 100조 시대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챙기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