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의회 해양산업클러스터 및 항만 재개발 특별위원회(이하 해양·항만특위)가 27일 정책세미나를 열고 해양산업 클러스터 도입 방안을 모색했다.
김운수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정책세미나 발제에서 "인천시가 해양산업의 체계적인 육성·발전을 위한 '해양산업 육성계획'을 우선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20년 제정된 '인천시 해양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는 해양산업 육성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지만, 아직 특별한 움직임이 없다는 게 김운수 위원 설명이다. 그는 "조례에 근거한 해양산업 실태조사도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해양산업과 관련한 종합적인 밑그림을 인천시가 갖고 있어야, 해양산업 클러스터 조성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했다.
김운수 위원은 "정부의 해양산업 클러스터 조성 '가능지역'으로 지정된 인천 남항 SICT(선광컨테이너부두)·E1CT(E1컨테이너터미널)의 경우 사유지가 일부 있다"며 "향후 클러스터 지정 시 이런 부분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클러스터 내 기업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확보, 유휴 무역항으로 한정된 클러스터 대상 구역 확대 등의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박창호 해양·항만특위 위원장은 "해양산업 클러스터 도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준비했다"며 "해양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됐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