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서가 가결되고 이 대표도 단식을 중단하면서 정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의 내홍은 더 깊어지는 양상이다. 특히 친이재명계 의원들은 가결 책임을 비이재명계에 돌리면서 협박까지 서슴지 않았다. 이 대표가 단식을 중단했지만 지도부 총사퇴 등 민주당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친명계 의원들은 노골적으로 분열을 유도하면서 이 대표의 당권에만 골몰하는 구태를 보이고 있다. 친명계 의원들은 비명계를 겨냥해 "저열하고 비루한 배신과 협잡이 일어났다" "해당 행위자들을 용서해선 안 된다" "용납할 수 없는 명백한 해당행위에 대해 전 당원 뜻을 모아 상응한 조치를 할 것"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국회 표결을 존중하고 26일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 이 대표 영장실질심사에 대비하는 게 순리임에도 친명계 의원들은 당내 강경 분위기를 만들어 강성 지지층을 더욱 자극하고 있는 형국이다. 온라인상에는 비명계 의원에 대한 협박성 글이 올라오는 상황이다.

친명계 의원들의 행태와 강성 지지층의 반응은 26일 영장심사를 앞두고 이 대표에 대한 영장 발부를 막기 위한 심리전을 의식한 것일 수도 있다. 민주당이 정상 궤도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든 이 대표의 사법 문제가 가닥을 잡아나가야 한다. 26일 법원의 영장 발부 여부가 분수령이 될 것 같다. 1년 넘게 지속된 이 대표 사법 문제가 정리 수순을 밟고 있는 만큼 강성 친명계 인사들의 비명계에 대한 공격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동안 이 대표와 친명계 의원들은 검찰이 아무 증거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가 무리한 것인지, 증거에 입각한 것인지는 영장심사에서 1차적으로 판가름날 것이다. 그러나 구속영장 발부 여부가 최종적 유무죄를 단정짓는 것도 아닌 만큼 민주당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당 내홍 수습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당을 분열로 이끄는 강성 지지층과 강경파 친명계 의원들의 비명계 의원들에 대한 공격은 당을 더욱 위기로 몰아갈 뿐이다. 민주당은 26일 영장심사의 결과를 지켜보고 차분히 그동안의 당의 혼란을 극복할 수습책을 내놓아야 한다. 민주당은 이 대표의 단식 중단과 체포동의안 가결을 계기로 그동안의 사법 리스크를 떨치고 민주 정당의 길을 가기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