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사 마련 상생방안 '무산'
주민투표 취소… 논의 '원점'
부평구 "노선 변경은 불가능"
인천 부평국가산업단지에 지어질 데이터센터로 연결되는 지중선로 공사가 전자파 유해성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대로 제동이 걸렸다.
부평국가산업단지에 설립 예정인 데이터센터는 2개다. SK에코플랜트와 디지털엣지홀딩스의 합작법인 DCK1은 청천동 422번지에 데이터센터 '에스이엘투'(SEL2)를 조성하고 있다. 또 부평IDC는 지난해 4월 청천동 414의 2번지에 데이터센터 건축 허가를 받았다.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선 갈산변전소와 연결된 154㎸ 전압의 지중선로를 설치해야 한다.
지난해 7월 선로 일부가 갈산동 이안아파트로부터 20m가량 떨어진 곳에 설치될 예정이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아파트 주민들은 크게 반발했다. 고압선에서 나오는 전자파로 인해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 위치도 참조

이에 담당 지자체인 부평구는 도로 굴착 허가가 나지 않은 부평IDC의 고압선 설치 노선을 변경하거나 주민과 합의를 맺는 조건으로 지중선로 관련 허가 심의를 보류했다. 또 이미 선로 공사를 시작한 DCK1에 지중선로 공사 중단을 명령했다. 현재 DCK1은 이안아파트와 인접한 구간 600m가량을 제외한 나머지 선로의 공사를 마쳤다.
지난해 12월 두 시행사는 갈산동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상생협력안을 내놓았다.
이안아파트를 지나가는 선로를 예정된 깊이 2.2m보다 1m 깊게 설치하고, 전자파 저감 차폐판도 설치하겠다고 했다.
또 매일 전 구간의 전자파를 측정해 전자파 상한값이 4mG(국제암연구소가 분류한 발암등급 2B 기준)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비상대책위원회가 시행사와 마련한 상생방안은 아파트 일부 주민의 거센 반발로 무산됐다.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비상대책위원장이 사퇴해 현재 시행사, 부평구과 협의할 대표자부터 선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부평구 도로과 관계자는 10일 "그동안 3차례 주민들과 설명회·공청회를 열어 소통했는데, 상생방안에 대한 투표도 이뤄지지 못해 아쉽다"며 "DCK1이 설립하는 데이터센터로 향하는 고압선은 이안아파트와 인접한 구간을 제외한 구간의 공사를 이미 마쳐 일부 주민이 원하는 노선 변경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정선아기자 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