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창간특집

[창간 79주년] '송도' 이야기… 성장의 그늘 | '자연'과 바꾼 개발… 낙수 대신 빨대 '불편한 진실'

입력 2024-10-06 18:50 수정 2024-10-06 19:25
지면 아이콘 지면 2024-10-07 7면
구글 타임랩스로 본 송도 국제도시의 지형 변화.

 

과거 갯벌 서해 대표 황금어장 자랑

매립계획 17.7㎢… 점점 커져 3배로
남은 부분 6.11㎢, 람사르습지 지정
배곧대교 등 개발로 다시 위기 직면
"갯벌은 세계가 인정하는 자연유산"

인천 전체 개발효과 기대 어긋나
수익성 확보 위해 아파트 들어서
외부보다 내부 인구 유입 더 많아
신·구도심간 격차 극대화 부작용


송도갯벌을 매립한 인천이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 거점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얻으면서 치른 대가는 가볍지 않았다. 바다를 메우면서 천혜의 갯벌이 사라졌고, '빨대효과'로 신·구도심 간 균형이 무너졌다.

 

송도국제도시 6·8공구 인근 갯벌. /경인일보DB
송도국제도시 6·8공구 인근 갯벌. /경인일보DB

■ '빌딩 숲' 이전… '천혜의 자연' 있었다




과거 송도갯벌은 인천 서해 대표 갯벌로 '황금어장'으로 불렸다. 송도(연수구 옥련동)~척천(연수구 청학동)~동막(연수구 동춘동)~고잔(남동구 고잔동)~소래(남동구 논현동) 등 어촌계가 어업활동을 활발히 벌였다.

1970년대 대규모 조개 양식장으로 개발돼 백합과 가무락, 바지락, 동죽조개, 굴 등 패류가 가득했다. 1980년대 말까지 국내에서 생산되는 동죽조개의 90%는 송도갯벌에서 나왔을 정도다. 뻘꽃게를 비롯해 민어와 농어 등 다양한 어종도 송도갯벌에 서식했다.

 

3대째 송도갯벌에서 조업하고 있는 이동우(73) 척천어촌계장은 과거 풍요로웠던 송도갯벌의 모습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었다. 이동우 계장은 "옛날엔 수백명이 넘는 어민들이 경운기 20여대씩을 끌고 들어가서 조업하곤 했다. 그렇게 (송도갯벌에) 나가기만 하면 돈이 벌렸다"며 "백합, 모시조개, 바지락, 소라, 낙지 등 안 나오는 게 없었다"고 회상했다.

1994년 시작된 송도해상신도시 개발로 인해 송도갯벌은 점차 사라졌다. 당초 송도갯벌은 17.7㎢ 가 매립될 예정이었지만 송도국제도시가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규모는 점점 커졌다. 결국 여의도(2.9㎢)의 약 18배 규모인 53.45㎢ 가량이 매립돼 땅으로 변했다.

이동우 어촌계장은 "어패류의 서식지가 다 파괴됐다. 송도갯벌을 자연환경 그대로 뒀더라면 환경이 어땠을지 종종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지난 2009년 매립 이후 남은 송도갯벌 6.11㎢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다. 해당 갯벌은 이후 2014년 7월 국제협약인 람사르협약에 의한 람사르습지로도 지정됐다. 매립 이후 남은 '자투리 갯벌'에 환경 보호 의미가 부여된 것이다. 해당 보호구역은 저어새 등 희귀·멸종 야생조류의 번식지이자 이동경로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렇게 남은 송도갯벌은 매립에 이어 새로운 환경훼손 현안에 직면하고 있다. 매립된 땅, 송도국제도시(송도신도시)가 생겨나며 제2수도권외곽순환도로와 배곧대교 등 새로운 유형의 개발이 거론되고 있는 탓이다. 장정구 기후·생명정책연구원 대표는 "전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나라의 자연유산은 단 2개뿐이고 그 중 하나가 바로 '갯벌'"이라며 "갯벌은 탄소를 흡수하는 블루카본으로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2024100701000001300031554
아파트 숲이 펼쳐진 송도국제도시 일대. /경인일보DB

■ 아파트 즐비… '낙수'아닌 '빨대'된 송도


송도신도시를 개발해 구도심에 파급(낙수)효과를 일으키고, 인천 전체 도시 발전의 기폭제로 삼겠다는 게 인천시의 초기 구상이었지만 성장거점 개발 방식이 도입된 송도국제도시는 초기 의도와는 다르게 구도심과의 지역 불균형 현상을 야기했다.

송도해상신도시 사업은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던 다른 매립사업과는 달리 인천시 주도로 이뤄졌다.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는 민간 자금 조달 수단을 택했다. 수익성 확보 명목으로 송도국제도시에는 자연스레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부동산 개발 이익으로 국제도시의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취지였는데 결과적으로 구도심 주민의 대거 이주가 이뤄지면서 신·구도심 간 격차를 극대화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인천연구원이 2020년 낸 '인천시 인구이동 특성 분석과 이해' 보고서를 보면 송도국제도시를 비롯한 인천경제자유구역 신도시 인구는 외부가 아닌 인천 내부에서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인천경제자유구역 순이동 인구 30만2천380명 중 절반이 훌쩍 넘는 18만3천65명(61%)은 인천 내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 밖에서 유입된 인구는 11만9천315명(39%)에 그쳤다. → 표 참조

2024100701000001300031552

이왕기 인천연구원 부원장은 "인구는 신시가지로 들어올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그 인구의 상당수는 내부에서 이동을 할 수밖에 없다"며 "송도는 특히 규모가 워낙 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지역간 편차가 드러났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송도 매립 30년이 된 지금 시점에서는 송도 경제자유구역의 긍정적인 효과를 어떻게 극대화시킬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개발 초창기에 공공이 원했던 기능을 유도하기 위해 산업생태계를 어떻게 만들지 등 전략을 잘 세워야 한다"고 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

2024100701000001300031553



경인일보 포토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

유진주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