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68주년 경인일보 뿌리를 찾다

[경인일보 뿌리를 찾다·3]경인지역언론약사(하)-통제·지역독점

통폐합 영욕의 세월너머 지방자치 꽃피워
   
해방후 잇단 창간 '춘추전국'
60~70년대 군부의 억압시대
90년대 지역신문 부흥기 맞아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가 '언론 춘추전국시대'였다면, 1960~70년대는 '언론통제기'로 볼 수 있다. 해방 후 뉴스 수요 폭증 속에서 신문이 우후죽순 생겨났다면, 1960년대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부터는 언론통제가 강화된 것이다.

이 시기 경인 언론으로는 1960년 7월 7일 생긴 경기매일신문, 같은 해 8월 15일 창간한 인천신문이 있다.



경기매일은 대중일보에서 시작해 인천신보, 기호일보 등으로 이름을 바꿔왔다. 1961년 5월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11호에 따라 전국 지역일간지 27개가 폐간되고 24개만 발행이 허가된다.

   
▲ 경기매일신문이 1968년 발행된 '한국신문연감'에 실은 광고. 경기매일신문 사장 송영호는 발행인 송수안의 아들이었다. 송영호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진공사 부사장을 거쳐 경기매일신문 사장직을 맡았다. 인천신문에는 발행편집겸 인쇄인 허합의 사진이 실려 있다. 경기일보는 자매지인 월간경기를 소개하는 그래픽을 부각한 게 특징이었다.
군사 쿠데타로 득세한 군부는 '자유당 정권과 4·19 뒤 완전개방된 언론자유 속 범람한 신문통신사를 대폭 정비하고, 일부 사이비 기자 행태를 근절한다'는 명목으로 언론통제를 시작했다.

당시 경기도에서 발행이 허가된 신문은 경기매일신문, 인천신문, 경인일보 3개사였다.

하지만 1951년 인천일보라는 제호로 시작돼 1955년 제호를 바꾼 경인일보는 1962년 정부언론정책에 따라 폐간하고 경기매일신문에 흡수된다.

1964년 8월 박정희 정권은 언론윤리를 타율적으로 강제하려는 언론윤리위원회법을 제정하려 했다. 전국 신문과 여론의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이에 언론윤리위법 경기도투쟁위원회가 생겼는데, 투쟁위원장에는 경기매일신문 박민규 주필, 부위원장에는 인천신문 김응태 편집국장, 경기매일신문 조수일 편집국장이 선출됐다.

   
▲ 인천신문이 1968년 발행된 '한국신문연감'에 실은 광고. 경기매일신문 사장 송영호는 발행인 송수안의 아들이었다. 송영호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진공사 부사장을 거쳐 경기매일신문 사장직을 맡았다. 인천신문에는 발행편집겸 인쇄인 허합의 사진이 실려 있다. 경기일보는 자매지인 월간경기를 소개하는 그래픽을 부각한 게 특징이었다.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의 반발이 심하자 정부는 이 법안을 자진철회했다. 1966년 2월에는 경기도 인천에서 경기일보가 창간한다.

인천신문은 경기연합일보(1968년 8월)로 제호를 바꾸고 이듬해 4월 인천에서 수원으로 본사를 옮긴다. 또 1970년 10월에는 연합신문으로 개제한다.

1970년대 유신체제 아래 경인 언론은 통폐합의 아픔을 겪는다. 1973년 9월 경기매일신문, 연합신문, 경기일보가 통합해 경기신문을 창간하고 본사를 수원에 둔다.

이때부터 시작된 1도1지(一道一紙) 정책으로 경인 지역에서는 신문의 지역독점체제가 구축됐고, 그 폐단도 많았다.

1980년대는 '언론 길들이기'의 시대였다. 언론 사전 검열이 강화됐다. 독점에 따른 경영실적 개선과 정부 지원 등으로 기자 월급이 100대 기업 수준이었다.

   
▲ 경기일보가 1968년 발행된 '한국신문연감'에 실은 광고. 경기매일신문 사장 송영호는 발행인 송수안의 아들이었다. 송영호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진공사 부사장을 거쳐 경기매일신문 사장직을 맡았다. 인천신문에는 발행편집겸 인쇄인 허합의 사진이 실려 있다. 경기일보는 자매지인 월간경기를 소개하는 그래픽을 부각한 게 특징이었다.
1981년에는 인천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경기도에서 분리된다. 이런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1982년 3월 경기신문은 경인일보로 제호를 바꿨다.

1988년 언론자율화 이후 경인 지역에는 3개 언론사가 창간한다. 1988년 7월에 인천신문(현 인천일보)과 기호신문(현 기호일보)이, 8월에는 경기일보가 창간호를 발행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91년 2월에는 중부일보가 창간했다. 1990년대는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함께 각 지역에 밀착해 행정을 보도하고 감시하는 '본격 지역언론 태동기'를 맞는다.

현재 경기·인천 지역에는 30여개의 일간 신문이 발행되고 있을 정도다.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 신문 등장과 모바일 언론 플랫폼 확산으로 '종이신문의 위기'를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경인일보를 비롯한 경인지역 신문들은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 이를 극복해 내고 있다.

/김명래기자

경인일보 포토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

김명래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