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굴포천 방수로 물고기떼 집단폐사(경인일보 6월 10일자 19면 보도)와 관련, 한국수자원공사와 인천시가 책임 떠넘기기 공방을 벌이고 있다.

지난 10일 인천시와 수자원공사는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회의까지 가졌지만 두 기관 모두 근본적인 방지책에 대해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시는 굴포천 방수로 관리 책임이 있는 수자원공사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는 비만 오면 굴포천 방수로에서 물고기 떼죽음 현상이 일어나는 만큼 방수로 관리 책임이 있는 수자원공사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는 수자원공사 굴포천 건설단 측에 이달 말까지 확실한 방지책을 세워 통보하지 않으면 정식 공문 등을 통해 항의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수자원공사가 자신들의 사업을 하면서 발생한 환경사고를 시에 떠넘기려 하고 있다"며 "수질정화시설 등을 갖추고 평상시에도 굴포천 물을 방수로 쪽으로 흘려보내는 근본적인 대안이 있지만 공사가 예산 등의 이유로 발을 빼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수자원공사 측은 방수로 물고기 집단폐사의 주된 원인은 오염된 굴포천이 방수로로 흘러들어 일어나는 것인 만큼 관리 책임이 있는 인천시가 먼저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맞받아치고 있다.

수자원공사는 평상시에 깨끗하던 방수로가 비만 오면 굴포천이 넘쳐 흘러 물고기가 폐사하고 있다며 원류인 굴포천이 깨끗해지지 않는 이상 재발방지는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자원공사 굴포천 건설단 관계자는 "물고기 폐사 원인이 오염된 굴포천에 있는 만큼 인천시도 이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렇게 두 기관이 서로 '네 탓'으로 책임을 돌리면서 문제 해결방안 등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인천 녹색연합 관계자는 "두 기관끼리 기싸움을 하고 있는 동안에도 굴포천은 병들어 가고 있다"며 "하루 빨리 어느 기관에서라도 책임있는 해결책이 나와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