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포천/최원류기자]포천시 바이오가스 플랜트 건설사업 추진에 또 제동이 걸렸다. 그동안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업체들이 수차례에 걸쳐 사업을 포기하면서 차질을 빚어오다 (주)태영건설과 실시협약을 마무리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경인일보 1월 20일자 16면 보도)되는듯 했으나 이번에는 가스 생산 이후 잔재물인 액비처리가 문제됐다.
6일 시와 태영건설에 따르면 영중면 영송리 일원(1만5천㎡)에 축산 분뇨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 등 바이오 가스로 전력과 열을 생산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월 바이오가스 플랜트가 들어서는 사업부지를 시가 무상으로 제공하고 (주)태영건설은 약 245억원을 들여 1일 300t 규모의 플랜트를 건설, 23년간 운영한 뒤 시에 기부채납을 골자로 하는 내용의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갔다.
그러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남은 액비 150t 가량을 처리하는 방안을 놓고 환경부와 협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액비는 분말 또는 입자 모양의 비료를 희석해 액상(液狀)으로 시여하는 액체 비료로, 현행 비료관리법에는 축분 처리후 발생하는 액비 경우 비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음식물찌꺼기가 포함된 액비는 비료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액비를 영중하수처리장으로 연계처리할 계획이지만, 환경부는 1일 1천500t을 처리할 수 있는 영중하수처리장에 연계처리할 경우 처리용량 초과로 증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영중하수처리장으로 연계처리할 경우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증설해야 한다"며 "영중하수처리장 증설은 오는 2015년 계획에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경우에 따라 목표연도를 앞당길 수 있지만 국고 지원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오는 2015년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설립키로 했던 SPC(특수목적법인) 설립도 연기됐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환경부 협의가 늦어지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태영건설측과 협의를 거쳐 자체적으로 증설 계획을 수립, 환경부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당초 목표연도를 앞당겨 증설할 경우 증설에 들어가는 비용 부담을 놓고 시와 태영건설간 다툼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포천 바이오가스사업 '또 제동'
시, 환경부와 잔재물 액비150t처리놓고 갈등… 용량 초과 지적… 특수목적 법인 설립도 연기
입력 2009-10-06 2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9-10-07 1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포천 바이오가스시설 건설 '2전3기'
2009-01-19